‘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는 오피스텔 117실과 근린생활시설 17호로 구성되며 지하 5층, 지상 10층 규모로 지어진다. 오피스텔은 34.75㎡~48.31㎡ 면적의 2~3룸 타입이다.
사진=‘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 투시도 |
이 단지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 뛰어난 교통 인프라에서 찾을 수 있다. 신분당선 호매실역 개통 예정지와 100~200m거리이며 도보로 1~2분 내외로 닿을 수 있는 초역세권이다. 여기에 호매실IC 및 금곡 IC를 이용해 수원광명고속도로로 빠른 진입이 가능하고, 서수원IC를 통해 국도 42호선으로 서울 및 수도권으로 쉽게 닿을 수 있다.
또한 2017년 개통예정인 비송-매송간 도시고속화도로, 천천IC 등을 이용하는데도 수월하고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해 전국으로 이어지는 대중교통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종 개발호재도 ‘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의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2018년 착공예정인 수원당수 공동주택지구는 호매실지구와 마주하는 신도시로, 약98만㎡ 부지에 총 7,927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단독주택을 비롯해 생태마을, 공동주택, 주상복합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호매실지구와 함께 서수원권역 발전에 시너지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는 주변의 풍부한 임대수요를 확보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주변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2019년 완공을 앞둔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군공항 이전사업 및 스마트폴리스 조성사업, 권선산업단지 등 주요 산업시설이 배후로 자리잡고 있다.
수원 R&D 사이언스파크는 1조 6,330억 원의 경제유발효과와 함께 1만 6,400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되며 주변 성균관대, 수원여대, 수원대 등 주요 대학들과 함께 도시경쟁력을 끌어올리는데 톡톡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군 공항 이전사업 및 스마트폴리스 조성사업은 총 사업비 6조 9,997억 원을 투입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교육시설을 현대화하는 등 생활환경을 개선하며, 첨단과학 연구단지와 함께 주거용지, 상업용지를 병행 개발해 미래 신성장 거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 개발이 완료되면 15조원의 경제유발효과와 11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탄탄한 생활 인프라와 우수한 교육환경도 갖추고 있다. 현장 바로 옆에는 홈플러스를 비롯한 호매실 일대 중심상권이 형성돼 있고, 제2실내체육관, 호매실 도서관 등 생활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또한 인근의 성균관대학교를 비롯해 수원대, 수원여대, 서울대학교 자연캠퍼스,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아주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등 수원시내 주요 대학들의 잠재수요까지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 칠보중학교, 중촌초등학교도 통학권에 위치해 학군 역시 뛰어난 편이다.
자체적인 프리미엄 역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테라스를 선호하는 최근 주거 트렌드를 반영해 테라스 설계를 도입했으며 넓은 평면을 확보해 주는 3Bay 설계에 채광과 통풍도 우수해서 삶의 질을 끌어올려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여기에 풀옵션 인테리어와 풀퍼니시드 시스템을 적용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IoT사물인터넷이라는 첨단 시스템을 구축해 생활의 편의를 더했다.
단지 주변에는 수변공원과 근린공원을 비롯해 생태체험관이 위치해 자연친화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테라스를 통해 근린공원을 비롯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권도 확보했다. 건물 내에는 입주민의 여가생활을 위한 휘트니스센터와 옥상정원, 1층 등 커뮤니티 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의 관계자는 “최근 공간이 넓게 설계된 주거용 오피스텔인 ‘아파텔’이 큰 인기를 끌면서 공간활용도가 뛰어난 ‘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도 조기 분양이 예상된다”며 “계약금 10%, 중도금 무이자 등 금융혜택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통과 개발호재가 맞물려 투자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호매실 아주리센 테라스 파크’의 홍보관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대원콤비프라자 1층에 위치하고 있다.
콘텐츠부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