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내 스마트폰 부품사, 화웨이부터 오포까지 뚫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화웨이가 AI기능이 들어간 스마트폰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OTRA(사장 김재홍)는 24일~25일 양일간 국내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밸류체인(GVC) 진입을 지원하기 위한 'GP 모바일차이나 2017'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중국 스마트폰 기업 신기술, 부품 수요에 대응해 우리 기업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했다. 중국 스마트폰 기업 21개사, 한국 스마트폰 부품 기업 23개사가 참가했다.

25일 상담회에는 화웨이(Huawei), 오포(OPPO), 비보(VIVO) 등 중국 10대 스마트폰 제조사중 8개가 참가했다. 특히 올해 1분기 기준 중국 모바일 시장 점유율 1위 화웨이 씨시 쩡(CISSY ZENG) 구매 총감은 “장기적으로 기술 개발이 가능하고, 마케팅 능력을 갖춘 일정 규모 이상의 한국 기업과 협력하고 싶다”며 무선 충전 및 홍채인식 기술에 관심을 표했다.

비보는 국내 홍채인식, 카메라 관련 신기술 보유 기업 7개사와 상담 했다. KOTRA와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향후 국내 유망기업 정보와 상담회 참가 등 협력 기회를 제공받기로 했다. 비야디(BYD)는 카메라, 터치기술 보유 국내기업과 상담 했다.

24일 열린 설명회 연사로 초청된 쑨원핑 선전시 모바일 협회장은 한국 스마트폰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모바일 업계 전망을 발표했다. 그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영향으로 주요 부품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중국 휴대폰 제조사들의 부담이 가중될 예정”이라며 “중국 중고급폰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광영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이번 상담회는 중국 글로벌 모바일 기업의 수요를 토대로 적격 국내기업과 상담을 주선했다”며 “중국과 한국 기업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