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2차대전 종전 후 50년 이상 '농사짓는 사람이 농토를 소유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했지만, 농촌 고령화가 심각해지자 2009년 농지법을 대폭 개정해 기업이 전국 어디서나 농토를 임차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2015년에는 농협법을 개정해 전국농협중앙회가 지역 농협과 개별 농가에 대해 갖고 있던 경작 작물과 판로 등에 관한 통제권을 완화한 것이다.
그 이후 농업법인 숫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 2005년 8700곳에서 2015년 1만8857곳으로 두 배 이상이 됐다. 새로 생긴 농업법인 중에는 도요타 같은 대기업이 세운 회사도 있고, 젊은 창업자들이 세운 스타트업도 있다. 농업법인이 직접 근로자를 고용하기도 하고, 그 지역 농민들과 협업하기도 한다. 기업이 아이디어를 내면 농민이 그에 맞춰 농사를 지어 고품질 재료를 대고, 기업이 그걸 멋지게 포장해 새로운 판로를 뚫는 방식도 도입됐다.
농업법인에서 일하는 '샐러리맨 농민' 수도 같은 기간 5만3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배 가까이 늘었다. 아사히신문은 "농업법인이 젊은이들의 농업 분야 진출을 이끄는 주요 통로가 됐다"고 했다.
최근 10년간 농촌 수입도 크게 증가했다.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농사 규모와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육우 분야는 개별 농가 수입이 지난 10년 사이 1.6배로 늘었다.
[도쿄=김수혜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