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바둑神 알파고가 손해보는 手를 둔다고?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누가 봐도 여기에 두면 한 집 더 이득인데, 왜 알파고는 딴 데 뒀을까요."

23일 중국 저장성 우전(烏鎭)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구글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와 프로 바둑기사 커제 9단의 대국. 전체 289수 중 200수를 넘어선 후반부가 되자 중계 해설을 하던 프로기사들이 연신 고개를 갸웃거렸다. TV조선 중계를 진행한 김영삼 9단은 "알파고가 세 차례 정도 손해가 분명한 수를 뒀다"고 말했다. 상대를 흔들려는 의도는 아니었다. 승패가 이미 알파고 쪽으로 기운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한 프로기사는 "알파고가 막판에 손해를 보는 바둑을 둔 탓에 중반 3~4집 이상 벌어졌던 바둑이 1집 반 차이로 끝났다"고 말했다. 일부 기사들 사이에서는 "알파고가 최소한으로 이기면서 대국을 재미있게 이끄는 능력이 있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오로지 승률만 따지는 알파고

하지만 알파고에 짜릿한 승부를 만드는 능력은 없다. 프로그램 오류 때문에 엉뚱한 수를 둔 것도 아니다. 알파고 개발 책임자인 데이비드 실버 구글 딥마인드 수석 과학자는 23일 기자회견에서 "알파고가 승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수를 두다 보니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알파고는 시뮬레이션(모의실험)으로 승률을 계산한다. 매 수를 둘 때마다 앞으로의 진행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없이 돌려본 뒤 이길 확률이 가장 높은 수를 고른다.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알파고는 상대의 공격 가능성이나 대국 자체의 불확실성을 없애면서 승률을 높이는 게 최선의 수라고 판단한다"면서 "인간의 눈에는 손해로 보이지만 확실하게 이기는 수만 두는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고 새 버전은 올 초 온라인 바둑 사이트에서 '마스터'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면서 프로기사들에게 60전 60승을 기록했다. 이때도 자신의 집을 스스로 없애는 등 손해 보는 수를 두곤 했다. 이정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알파고는 10집 차이로 이기는 80%의 확률보다 반 집 차이로 이기는 90%의 확률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두뇌·학습 방법으로 진화

데이비드 실버 수석 과학자는 24일 열린 '바둑의 미래 서밋'에서 "현재의 알파고는 작년 이세돌 9단과 대결할 때 사용했던 버전에 3점을 접어주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바둑에서 3점은 아마추어와 프로기사의 차이 이상이다. 지난해 알파고는 사람이 둔 기보 16만건을 모범 답안 삼아 공부했다. 하지만 새 알파고는 알파고끼리 수없이 많은 대국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수를 깨쳤다. 커 9단은 대국 직후 알파고의 장점으로 창의력, 자유로운 발상을 꼽았다. 알파고가 바둑에서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경지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도 바꿨다.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 최고경영자는 "구글이 새로 개발한 인공지능용 반도체 칩 덕분에 알파고의 크기는 작아지면서도 더 빨라졌고 에너지 효율도 10배 이상 향상됐다"고 말했다. 새 알파고에 장착된 4개의 인공지능용 반도체 칩은 초당 10만개의 수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전 알파고에 사용했던 반도체 칩과 비교하면 30배 이상 빠르다. 이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실장은 "이 반도체 칩을 탑재한 컴퓨터 두 대만 있으면 수만 개의 반도체 칩이 연결된 세계 500위권 수퍼컴퓨터보다 더 나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스스로 길을 찾아내는 알파고는 바둑 이외의 분야에서도 맹활약할 수 있다. 이식 실장은 "사람이 자율 주행차에 도로에서 벌어질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알파고를 활용하면 무한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서 "신약 개발이나 의료, 금융 상품 개발 등에도 알파고의 기술이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건형 기자(defying@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