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북 인도지원, 정치에 휘둘리지 않게 제도 마련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곽영주 북민협 운영위원장 인터뷰-

“지난 9년은 남북교류·협력 암흑기

대북접촉 승인 땐 북 민화협 만나

신뢰회복 토론회 평양 개최 추진”



한겨레

곽영주 북민협 운영위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사무실에서 <한겨레>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꽉 막힌 남북관계에 숨통이 트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북 인도지원단체들이 잇따라 대북접촉을 신청하자, 정부도 “민간교류 등은 유연하게 검토해 나갈 생각”이라고 화답하고 있다. <한겨레>는 23일 오후 서울 중구 어린이재단 9층 사무실에서 곽영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운영위원장을 만났다. 북민협은 56개 대북 인도지원단체가 참여한 협의체다.

곽 위원장은 “지난 9년여는 남북 교류·협력의 암흑기였다”며 “이제는 인도지원 사업이 정치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제도적 틀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곽 위원장과 일문일답이다.

-남북 민간교류가 오랫동안 막혀왔다.

“지난 9년여는 그야말로 암흑기였다. 이렇게 오래 걸릴지 몰랐다. 지난해 9월 북 함북지역 수해 때 직접 지원을 못했을 때는 참담했다. 장기간 대북접촉 승인조차 나지 않다 보니, 후원도 줄고 단체 실무자들도 하나둘씩 떠나갔다. 해외 인도지원 쪽으로 방향을 틀어 명맥을 유지한 단체도 있다.”

-북민협도 대북접촉 신청을 한 것으로 안다.

“탄핵과 대선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 어떤 정부가 들어서든 남북 교류는 재개될 수밖에 없다고 확신했다. 막혔던 교류를 어떻게 다시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 북민협 차원에서 고민을 많이 했다. 그간 북도 달라졌을 테고, 우리도 사업 역량 등이 달라졌다. 이런 걸 다 꺼내놓고 얘기를 나누는 장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봤다.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인도지원·협력사업의 원칙과 기준을 만들어, 민간교류·지원의 지침으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다. 남북이 만나 회포도 풀고, 쌓인 얘기도 하고, 그러면서 신뢰를 회복해나가는 토론회를 북쪽 민족화해협의회에 제안할 생각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접촉 승인이 나면, 북쪽 민화협 쪽으로 전자우편을 보내 북민협-민화협 토론회를 공식 제안할 생각이다. 북쪽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면, 직접 접촉을 통해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지금으로선 7월 중순 평양에서 행사를 하면 좋겠다. 정부가 허락하고, 북쪽이 동의만 하면 생각보다 빨리 성사될 수도 있다고 본다.”

-정부가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다행스럽다. 남북 교류가 오랜 기간 끊기면서, 대북접촉 경험이 없는 인도지원단체 활동가도 많다. 일단 양쪽이 만나 밥도 먹고 얘기도 나누면서 친해지고 마음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가능하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방북단이 꾸려지기 바란다. 북민협이 문을 열면 다른 민간단체들도 편해지고, 정부도 이후엔 발걸음이 가벼워질 수 있다. 정경유착이 나쁜 것처럼 인도적 지원에 정치가 개입해선 안된다. 대북 인도지원이 정치에 휘둘리지 않도록 법·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페이스북] [카카오톡] [위코노미]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