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공공기관 평가에 '일자리 항목'…임직원 성과급 희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공공일자리 81만 개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문재인 정부가 이를 실행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와 연계하기로 했습니다. 한 마디로, 공공기관들이 사정이 되는데도 일자리를 적극 만들지 못하면 경영평가에 반영한다는 겁니다. 일자리 마련과 관련해 점수가 좋지 못하면 예산도 줄이고, 임직원들의 성과급도 줄이는 방안입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일자리위원회가 공공기관을 통한 일자리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일자리 창출 여부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될 것"이라며 "평가의 배점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겠지만 재구성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일자리 창출 여부를 주요 지표로 삼겠다는 설명입니다.

현재는 계량화 된 일자리 평가 지표가 따로 없고, '인적자원 관리'나 '사회적 책임' 항목에서 일부 정성 평가를 하게 돼 있습니다.

일자리 창출 규모와 질, 정책 이행 실적 등을 반영할 방침입니다.

만약 일자리 성과가 작아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면, 예산 축소 등 불이익은 물론 기관장과 임직원의 성과급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 한 관계자는 "일자리 평가 지표를 별도로 분리하거나 공공기관의 가점 또는 감점을 주는 방식 등까지 모두 열어놓고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을 높이는 새로운 경영평가 편람 개편을 올해 하반기까지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이지은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