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英총선 여론조사 "보수당 46% vs 노동당 33%"…노동당 추격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이, 노인요양 개혁 공약했다가 지지도 떨어지자 '유턴' 선언

노동당, '치매세' 공세 속 대학등록금 즉각 폐지로 표심 공략

연합뉴스

유권자 집 방문하는 영국 총리
(런던 AP=연합뉴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오는 6월 8일 조기총선을 앞두고 20일(현지시간) 런던 시내에서 유권자 집을 방문하고 있다. 메이 총리는 주요 정당 대표들과 출연하는 TV 토론을 거부하면서 대신 유권자 집들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6475@yna.co.k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오는 6월 8일 조기총선을 앞두고 테리사 메이 총리가 이끄는 영국 집권 보수당이 여전히 상당한 격차로 앞서고 있지만 제1야당인 노동당이 추격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보수성향 일간 텔레그래프는 여론조사 결과들을 평균해 22일(현지시간) 현재 보수당 지지도를 46%, 노동당 지지도를 33%로 집계했다.

보수당이 13%포인트 앞서고 있지만, 격차는 열흘 전(17%포인트, 보수당 47%·노동당 30%)에서 눈에 띄게 축소됐다.

하지만 개별 여론조사에선 격차가 9%포인트까지 좁혀진 조사도 나왔다.

여론조사기관인 유거브가 벌인 조사(18~19일)에서 보수당이 44%, 노동당이 35% 등의 지지도를 보였다.

서베이션 조사(19~20일)와 ORB 조사(17~18일)에선 보수당의 리드가 12%포인트(각각 보수당 46%·노동당 34%)를 보였는데 이 역시 직전 조사때(14~18%포인트)보다 줄어든 것이다.

특히 유거브와 서베이션 조사는 노동당(16일)과 보수당(18일)이 총선공약을 발표한 이후 나온 조사여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공약 발표 이후 '보수당 부진 - 노동당 약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연합뉴스

[BBC 홈페이지 캡처]



보수당의 '사회적 돌봄'(social care) 개혁 공약이 역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게 현지 언론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영국은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집에서 요양하는 재가요양과 요양원 등 외부시설요양에 들어가는 비용의 일정액을 국고로 지원하고 있다.

다만 대상자는 '소득평가금액'이 2만3천250파운드(약 3천400만원) 이하인 노인으로 제한한다. 보수당 공약은 재가요양도 외부시설요양과 마찬가지로 소득평가금액을 산정할 때 소득과 예금에다가 보유주택가치도 반영키로 했다.

잣대가 높아짐에 따라 지원이 끊기는 이들이 다수 생기게 된다.

대신 재가요양이든 외부시설요양이든 본인이 더는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되는 소득평가금액 하한선을 2만3천250파운드에서 10만파운드(약 1억4천600만원)로 높였다. 치매 등으로 사망할 때까지 요양을 계속 받더라도 최소 10만파운드의 재산은 남게 된다는 것이다.

보수당 전임 정부가 입법해 2020년 시행될 예정인 개혁 방안은 본인부담비에 상한선(7만2천파운드)를 두는 방안이다.

보수당은 소득은 낮지만 고가주택을 보유한 노인들이 요양비를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논리다. 집값 상승으로 집을 사지 못하는 형편에 몰린 젊은 세대로부터 거둔 세금으로 재산이 있는 노인의 요양비를 부담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공약 발표 이후 지지도가 하락하자 보수당 일각에서도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왔다.

하원 보건위원회 위원장인 사라 울라스톤 보수당 의원은 고가주택이 있지만 소득이 낮은 연금수급자가 재가요양을 감당할 수 없을지 모른다면서 공약이 "결말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걱정했다.

반면 노동당은 '치매세'라며 공세에 고삐를 죄고 있다.

나아가 공약으로 내놓은 대학등록금 폐지 시기를 올 가을학기로 앞당긴다고 이날 발표하는 등 격차 좁히기에 속도를 내려고 애쓰고 있다.

논란이 확산하는 조짐을 보이자 급기야 메이 총리는 이날 BBC와 인터뷰에서 "공약집에서 사회적 돌봄 개혁에 관한 부처간 협의 결과를 내놓겠다고 했다. 이 협의는 분명한 본인부담비 상한선을 포함할 것"이라며 사실상 유턴을 선언하며 사태 진화에 나섰다.

연합뉴스

런던서 총선 유세 펼치는 코빈 영국 노동당 당수




jungwo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