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국내 연구진, 암 세포 돌연변이 단백질 직접 표적 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암 유발 단백질을 직접 표적해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용성 아주대 교수팀은 세포 내 암 유발 라스(Ras)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하는 치료용 항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전자신문

김용성 아주대 교수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은 가장 널리 알려진 종양 유발 인자다. 인간 종양 30%에서 발견된다. 췌장암에서 95%, 대장암에서 52%, 비소세포폐암에서 30% 발견된다.

1982년 발견 이후 30여 년간 이를 직접 표적하는 약물이 개발된 적이 없어 '난공불락'으로 불렸다.

기존 치료용 항체는 세포 외부 막단백질, 분비단백질을 표적한 암, 면역질환 치료제였다. 세포질 내에 위치한 질환유발 단백질을 직접 표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하면서 세포질 침투 능력이 있는 간섭항체를 개발했다. 항체는 종양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방해하는 데 성공했다. 쥐 실험에서 라스 돌연변이를 지닌 대장암과 섬유육종 성장을 크게 억제했다.

전자신문

종양유발 라스 돌연변이 표적 항체의 항암효과로 인한 종양의 크기 변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용성 교수는 “항체가 종양세포에 침투해 라스 표적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비정상적 신호 전달을 차단했다”면서 “현재까지 약물이 없었던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하는 신약 항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김 교수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