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팝인터뷰①]'임금님의 사건수첩' 이선균, 사극서도 묻어난 '멋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POP=이미지 기자]“퓨전 사극이라 적절한 줄다리기 필요했다.”

MBC ‘커피프린스 1호점’에서는 달달한 음악가로, ‘파스타’에서는 까칠한 셰프로 여심을 뒤흔들었던 배우 이선균이 영화 ‘끝까지 간다’와 JTBC ‘이번 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에서는 찌질男의 대명사가 되더니 이번에는 허세가 넘치는 임금으로 돌아왔다. 바로 영화 ‘임금님의 사건수첩’을 통해서다. 더욱이 이선균에게는 첫 사극으로 의미가 남다르다.

“현대극을 주로 하다 보니 사극 출연 제안 자체가 많이 들어오지 않기도 했다. (웃음) 사극은 길게 찍는 데다, 분장에 발성까지 두려움이 있었다. 보통 대사를 외울 때 상황과 연관시켜 외우는데 사극은 그게 불가능하지 않나. 그렇게 사극을 멀리하면서도 조금 더 나이 먹으면 도전해보되, 좀 더 편하게 해봤으면 좋겠다 생각했는데 딱 맞게 ‘임금님의 사건수첩’이 들어온 거다.”

이어 “감독님과도 우리 영화는 정통 사극이 아니기 때문에 자유롭게 표현해보자라고 이야기했었다. 원래 사극 프레임이 있지 않나. 그렇지만 그 안에 너무 갇혀 있지 말고 놀아보기로 한 거다. 하지만 임금이기 때문에 너무 놓으면 가벼워지니깐 적절한 줄다리기를 하고자 애썼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헤럴드경제

하지만 이선균은 많은 이들이 그의 성대모사를 할 만큼 독특한 보이스를 갖고 있다. 이에 사극과는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들과 있을 때와 ‘이서’(안재홍 분)와 있을 때 극명한 차이를 주려고 노력했다는 이선균은 “처음에 대신들 하고 말할 때는 정통 사극에 가깝게, ‘이서’랑 나올 때는 가볍게 하려고 했다. 하지만 캐릭터가 너무 딱딱하게 가면 재미없으니 사극에 가까운 톤은 편집이 많이 됐더라”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부러 현대극처럼 연기하기도 했다. 대본에도 그런 뉘앙스가 느껴져서 대사를 꺾으면 재밌겠다 싶었던 거다. 물론 ‘임금이 이래도 돼?’라고 걱정이 되다가도 그런 걸 고민했다면 이 영화 자체가 만들어지지 못했을 거다”고 비화를 공개하기도 했다.

이선균이 분한 ‘예종’이 여느 사극들 속 임금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위에서 지시만 내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 수사에 나서는 ‘멋짐’이 잔뜩 묻어나는 임금이라는 거다. 시나리오에서부터 너무 잘 표현돼 있었다는 이선균은 “그동안 맡았던 캐릭터들은 주어진 상황 안에서 어떻게 끌고 갈지, 당할지 정해졌다면 이번에는 처음부터 잘 만들어져 있었다. 내가 아닌 누가 입었어도 멋지게 잘 표현됐을 것 같다”고 멋졌다는 칭찬에 안심을 하면서도 겸손한 발언을 했다.

헤럴드경제

‘임금님의 사건수첩’은 제목에 사건수첩이 들어가긴 하지만, 영화 ‘조선명탐정’ 시리즈,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의 다른 코믹수사활극과는 달리 한 사건에만 집약해서 극이 전개되지 않는다. 이선균 역시 그런 부분은 아쉬움이 남았다고.

“나 역시 캐릭터적인 부분은 좋았는데, 입궐한 ‘이서’의 성장기로 끝난 느낌이 없지 않아 있다. 추리에 포커스가 있는 게 아니라 임금이 추리한다는 설정 정도다. 사건을 쫀쫀하게 몰아붙였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도 든다. 하지만 많은 사랑을 받게 돼 속편이 제작된다면, 그런 걸 시도해볼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코믹수사활극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 영화 역시 관객분들께 기분 좋은 영화로 다가갈 수 있길 바란다.”

pop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