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블랙리스트 책임' 문예위·영진위 기관장 줄사표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명진 문예위원장·김세훈 영진위원장 지난 8일 문화체육관광부에 사표 제출]

머니투데이

박명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왼쪽)과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사진=뉴스1, 뉴시스


'블랙리스트' 집행 책임자로 지목되는 박명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문예위) 위원장과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위원장이 연이어 사직서를 제출했다.

11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박 위원장과 김 위원장은 지난 8일 문체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두 위원장으로부터 사표가 제출됐으며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면 사표 수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10일 영진위 내부 게시판에 "부당한 요구에 우리 영화계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명하고 법률적, 행정적 근거도 보여주며 나름의 최선을 다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많이 부족했음을 느낀다"며 "영화계에 불합리한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끝까지 지켜내지 못한 점에 대해 영화진흥위원회 임직원을 대표해 국민과 영화인께 진심으로 사과를 드린다. 위원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고자 한다"고 사퇴의 변을 밝혔다.

두 위원장은 박근혜 전 정권에서 불거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주요 집행인으로 지목돼 왔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란 박근혜 전 정권에서 정부 비판적인 예술인 9473명을 기재해 놓은 목록이다. 지난해 말 블랙리스트의 존재가 알려지고 이 중 일부 예술인들이 문화예술 지원에서 배제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문화예술계는 문예위와 영진위 등 문체부 산하 문화예술지원단체가 블랙리스트를 직접 작성하진 않았을지라도 이를 집행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기관장 사퇴와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지난 2월 문예위가 사과문을 발표한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입장표명은 없었다.

문예위는 문화예술인 및 단체에 대한 정부 지원을 심의, 결정하는 기관으로 매년 2000억 원에 달하는 문화예술진흥기금을 집행한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출신인 박 위원장은 2015년 6월 취임해 임기 1년을 남겨둔 상황이었다.

김 위원장은 2014년 12월부터 영진위원장을 맡으며 부산국제영화제 파행, 영화 '다이빙벨' 상영 금지 논란, 예술영화지업사업 편파 지원 시비 등을 일으키며 영화인들과 갈등을 빚었다.

구유나 기자 yunak@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