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현대중 하청노조 ‘블랙리스트’ 증거 공개…김종훈 의원 “노동계 블랙리스트 국정조사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김종훈 국회의원과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 조합원들이 8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조선업계 블랙리스트에 대한 현대중공업 국정조사 추진 입장을 밝히고 있다. |김종훈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계열사인 현대미포조선 사내하청 노동자들이 노조활동 보장 등을 요구하며 28일째 고공농성 중인 가운데, 현대중공업이 사내하청 노조원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고용승계와 재취업을 방해했다는 정황이 공개됐다.

김종훈 의원(무소속·울산동구)과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8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청지회 조합원 200여명이 노조 활동을 이유로 재취업과 고용승계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최근 3개월간 수집한 녹취록 등 증거를 공개했다.

하청업체가 하청노조 조합원을 고용하면 원청인 현대중공업에서 유·무형의 압박을 준다는 증언이 제시됐다. 지난 3월10일 하청업체 대표 ㄱ씨는 하청노조 지회장과의 통화에서 “우리가 떠안아뿌면 우리 쪽에 또 압박 들어온다니까(중략) 회사(원청) 심리를 이게, 뭐 법적으로 어떻게 뭐 (원청)생산부서나 법적으로 이거 언제 그만두라 이 소리는, 이런 소리는 안한다니까. 뭔가 다른 쪽으로 압박이 들어온다니까”라고 했다. ㄱ씨는 또 “그 저(조합원)를 받았다카면 난리 안 나겠나, 우리 업 접으라카는 그카는 이 말이라”라며, 원청이 노조원이 취업한 하청업체에 폐업을 강요한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

현대중공업이 하청노조 조합원 명단을 전산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내용도 나왔다. 지난달 10일 또 다른 하청업체 대표 ㄴ씨는 지회장과의 통화에서 “일단 저쪽(원청)에다 얘기는 일단 해놨는데(중략) 한 사람은 입력은 되기는 되는데 나중에 (원청에서)전화가 와가지고 꼭 써야 되냐 이렇게 연락이 오데”라며 “(원청)전산에 걸려 있는 사람들을 지금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게 회사(원청)에서 지금 뭐냐 그랬더만은, 하청노조에 가입돼 있는 사람들, 응 인제 이 얘기를 하더라고”라고 했다. 원청에서 노조원 리스트를 전산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한을 풀어 줘야 하청업체에서 채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증언이다.

1차 하청, 2차 물량팀 등으로 이어지는 조선업계의 다단계 도급 구조 속에서 노조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하청노동자들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의혹은 예전부터 제기돼 왔다. 지난달 11일부터 울산 북구 교각 위에서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현대미포조선 노동자 2명도 노조원이라는 이유로 고용승계에서 배제됐다며 블랙리스트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회사는 다르지만 지난해 7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대우조선해양 물량팀 노동자도 업계 블랙리스트에 올라 재취업을 하지 못해 괴로워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김 의원은 “현대중공업그룹을 비롯한 조선산업과 대기업 전반의 노동계 블랙리스트 문제에 대해 각 정당의 국회의원들과 공동으로, 대선 직후 대대적인 국정조사가 실시되도록 지금부터 추진하겠다”라며 “이 과정에서 밝혀지는 사건들에 대해 당사자들과 함께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준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