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沈 30% 1위, 安 6% 꼴찌…보수층에선 洪이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대선 D-10 / TV토론 누가 잘했나 ◆

매일경제

민주당의 존 F 케네디와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 간 1960년 TV토론은 현대 정치사의 '결정적 한 장면'으로 꼽힌다. 1960년 9월 26일 시카고의 C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양당 간 첫 TV토론은 케네디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당시 TV라는 신생 매체가 지닌 폭발성을 간파한 젊은 케네디에게 닉슨이 말려든 셈이다. 모두 네 차례 열린 당시 토론은 박빙의 승부를 뒤집었다.

제19대 대선을 맞아 우리나라도 이른바 '스탠딩 토론' 등을 도입해 판에 박힌 암기형 토론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총 6번(선관위 공식 주최는 3번) 열리게 된 이번 대선 TV토론은 매회 토론의 룰이 바뀌면서 후보자들도 시청자들도 헷갈리는 상황이 빚어졌다. 또 관련 법규에 따라 원내 5당의 후보가 토론자로 나서면서 집중도가 떨어졌다는 평가도 나왔다. 향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최적의 토론 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토론 우열이 지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엇갈린 평가가 가능해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25∼27일 전국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상세 내용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응답자 중 30%는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가장 토론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18%,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14%,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9%,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6% 순이었다. 흥미로운 포인트는 보수성향 응답자 가운데는 홍 후보(25%)가 근소한 차이로 1위를 차지한 점이다.

반면 진보성향 응답자 가운데는 43%가 심 후보, 28%는 문 후보가 가장 잘했다고 평가했다. 결국 비슷한 정치성향의 후보들이 더 잘했다고 믿는 유권자 경향성이 드러난 셈이다. '토론회를 보고 문 후보에 대한 생각이 '더 나빠졌다'는 응답은 30%, '변함없다' 47%, '좋아졌다' 17%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안 후보와 홍 후보는 '나빠졌다'가 각각 44%, 42% 등으로 부정적 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TV토론이 시작된 지난 13일 이후 지지율은 안 후보는 뚜렷한 하락세였던 반면 홍 후보는 소폭 상승했다.

[신헌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