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산림청, 황금연휴 기간 '산불방지 특별대책'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휴 기간 입산객 증가로 산불위험 커져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산림청이 지난 27일 오후 3시를 기해 국가산불위기 경보를 '경계'로 상향 발령한 가운데 산불 발생 위험이 큰 5월 연휴 기간 산불방지에 총력 대응한다.

연합뉴스

지난 24일 강릉 연곡에서 난 산불 [연합뉴스 자료사진]



산림청은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대통령선거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5월 3∼9일을 '산불방지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비상근무에 돌입한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5월은 여느 해보다 공휴일이 많아 산악회나 가족 단위로 산을 찾는 나들이객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산나물·산약초 채취를 위한 입산객까지 늘면서 산불위험이 큰 상황이다.

산림청은 중앙·지역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산림 내 불법행위, 화기물 소지 입산 행위, 산림 내 취사행위 등의 위법사항을 집중 단속한다.

산나물·산약초 채취 지역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무단 입산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행정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5월에는 산불이 입산자 실화로 산 중턱에서 발생하는 사례가 많아 조기 발견과 진화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산불 취약지 특별관리를 통한 사전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최근 10년간 5월 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38건, 피해면적은 23.5ha이며 지난해에는 21건의 산불로 18.7ha가 피해를 봤다.

최근 10년간 5월 산불 주요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23건(60%)으로 가장 많았고, 소각산불이 6건(15%)으로 뒤를 이었다.

신속한 초동진화를 위해 30분 이내 진화헬기 출동태세를 유지하는 '골든타임제' 이행을 강화하고 산불전문 예방진화대와 특수진화대를 주축으로 산불감시와 지상 진화 체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권역 등 산불 취약지에 산림 헬기 2대를 이동 배치했으며 특수진화대 23개 팀을 광역단위로 지원한다.

박도환 산불방지과장은 "따뜻하고 건조한 날씨 탓에 작은 불씨가 산불로 번질 확률이 높다"며 "등산객들이 안전한 산림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산림 내에서 인화물질을 소지하거나 불을 피우는 행위를 절대 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yej@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