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주간 아파트값 2주연속 0.02%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정아름 기자 = 개발호재지역에서 집값이 오르고 산업침체지역에서는 집값이 떨어져 주간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와 같았다.

한국감정원은 24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조사결과 매매가격이 0.02% 올랐다고 27일 밝혔다.

수도권은 0.05%로 지난주 상승폭과 동일했다. 서울(0.09%)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인천과 경기는 지난주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 중 강남권(0.08%)은 구로구, 관악구는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하지만 강서구, 송파구 등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쪼그라들면서 전체적으로 지난주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북권(0.09%)는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 등은 상승폭이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성동, 노원구 등은 정비사업 기대감으로 상승하면서 지난주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지방(-0.02%)은 대구, 충남, 경북 등에서 신규 입주물량이 계속 쌓이면서 전체적으로는 보합에서 하락전환했다.

전세가격은 0.01% 올라 지난주 상승폭과 같았다. 수도권(0.05%)은 교통여건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지방(-0.02%)에서 수급불균형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수도권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은 지난주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인천과 경기는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 중 강남권(0.06%)은 지난주와 견줘 상승폭이 축소됐다. 금천구, 영등포구 등이 상승세가 둔화되고 송파구가 상승에서 보합전환됐다.

강북권(0.06%)은 중랑구, 성동구 등에서 역세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두드러지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지방은 부산, 강원이 개발호재로 전세가격이 올랐다. 반면 세종에서 신규입주물량이 대거 공급돼 하락세가 지속되고 대전도 세종으로 수요가 이동하면서 하락폭이 커지면서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