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2016년 청주국제공항 운영현황 [출처 = 한국공항공사] |
'오뚜기'
청주국제공항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중 하나다. 넘어질 듯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언제그랬냐는 듯 벌떡 일어나는 생명력 때문이다.
2009년이 그랬고, 올해가 또 그런 해다. 2번의 중대 위기가 10년 언저리 마다 반복되고 있는 점이 공교롭다.
한국공항공사(사장 성일환)가 운영하는 청주국제공항이 27일 개항 20주년을 맞았다.
청주국제공항 1층 중앙홀에서 성년 축하 파티가 열렸다.
청주공항을 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 성일환 사장, 서훈택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등 공항 관계자는 물론 이시종 충북 지사, 이승훈 청주시장 등 지역 주요 인사가 참석해 개항 20주년을 축하했다.
성일환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그동안 청주공항 발전에 힘쓴 유공자를 포상하며 노고를 치하했다.
성 사장은 "러시아 동남아 등 노선다변화를 통해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성장하는 공항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국내 4번째 국제공항 개항…12년 만에 '민영화' 위기
1997년 4월 28일 4번째 국제공항으로 문을 열기 전까지 청주공항은 군(軍)공항이었다.
1992년 3월부터 751억 원을 투입해 2740m 활주로 2개, 6800여평 여객청사, 중형항공시 A-300급 3기를 동시에 세울 수 있는 계류장을 만들어 국제공항으로 탈바꿈했다.
연간 19만6000편의 항공기 이착륙 가능하고, 연간 250만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다.
포화상태인 김포국제공항을 대체할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의 비상을 꿈꿨지만 국내·국제선 이용 여객·화물이 저조하면서 빛바랜 청사진이 됐다. 연간 40~50억 원대 만성 적자 공항으로 전락한 것.
급기야 이명박 정부는 2009년 3월 공기업 선진화 방침에 따라 청주공항을 제1호 민영화 대상으로 선정했다.
당시 정부는 청주공항에 대해 항공교통 의존도가 낮아 공항이 갖는 공익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과도한 인건비 비중 등 비효율성이 컨 민간운영을 통한 효율성 개선이 큰 공항이란 이유를 댔다.
청주공항에 근무하던 직원들은 실직을 우려했고, 지역에서는 요금인상, 보안·서비스 질 저하, 접근성 제한, 비정규직 양산 등 부작용을 우려하며 일제히 반대 목소리를 냈다.
각계의 반대에도 청주공항 운영권은 2012년 2월 민간사업자인 청주공항관리(주)에 30년간 255억 원에 양도됐다 하지만 사업자가 매각대금 잔금을 제때 납부하지 못해 극적으로 '기사회생' 했다.
27일 개항 20주년을 맞은 청주국제공항 전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절치부심(切齒腐心)…2016년 첫 흑자 전환
청주공항은 개항 첫해인 2007년 여객 37만명 이용(395편 운항)이란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후에도 부산 제주 강릉 광주 등 국내선은 물론 일본 중국 타이 등 동남아 노선을 취항시키겠다는 정부의 약속은 대다수 지켜지지 않아 '말잔치'로 끝났다.
10년 뒤인 2007년 연간 여객 100만 명을 처음으로 돌파했지만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만성 적자공항'이란 오명은 벗지 못했다.
그러다 2015년 '날개'를 달았다. 211만명의 여객이 이용해 처음으로 200만 명(1만4153편 운항)을 돌파했다. 200만명 돌파 보다 여객 증가율이 반가웠다.
2015년 실적을 뜯어보면 국내선 여객은 전년(2014년) 대비 30.3%, 국제선 여객은 8.8% 증가하는 등 평균 24.4%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하는 김포·제주·김해공항 등 14개 공항 가운데 무안·군산·대구공항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증가율이다. 2008년부터 시행된 24시간 심야 운항, 2014년 4월 도입한 120시간 무비자 환승 공항을 적극 활용해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린 결과다. 한중 항공회담에서 중국 4개 노선이 추가로 확충되면서 중국 정기편이 7편으로 늘어난 것도 큰 힘이 되었다.
당시 청주지사장으로 근무하던 홍기효 지사장(현 항공기술훈련원 교수)이 흑자공항을 만들기 위해 매니큐어를 까만색으로 칠하고 검은 색채를 띠는 짜장면을 자주 먹었다는 일화는 당시 적자탈출이 얼마나 절실했는지를 대변한다. 성장엔진에 가속도가 붙은 청주공항은 지난해 비로소 첫 흑자를 냈다. 개항 20년 만이다. 만성 적자공항도 효자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안겼다.
27일 오후 청주국제공항에서 열린 '청주공항 개항 20주년 기념식'에서 성일환 한국공항공사가 공로자들에게 표창을 수여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국 사드 보복 2번째 위기…'노선 다변화'로 맞불
아쉽게도 잔치는 오래 가지 못했다. 중국 사드 보복이 노골화 하면서 중국 노선 의존도가 높은 청주공항은 올해 직격탄을 맞았다.
민영화에 이은 제2의 위기요인(중국리스크)이 수면위로 드러난 셈이다.
고도의 정치적 판단과 연결돼 있는 중국 리스크는 언제든 재발이 가능하고 일방적이어서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위기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파급력을 지닌다.
실제로 이번 사드 보복 조치 일환으로 중국이 일방으로 내놓은 한국관광 중단 조치는 청주공항을 최대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
중국인 한국여행 중단 조치를 내린 3월 15일 전후의 공항 이용 실적을 보면 흑자는 커녕 적자 폭 확대를 걱정해야할 판이다.
3월부터 최근까지 청주공항 이용 여객은 20만 4501명으로 작년 동기(42만7266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항공편도 작년엔 2765편이었지만 1398편으로 감소했고, 화물도 작년 3404t에서 1703t으로 급감했다. 과거 중국이 일본(센카쿠 영토 분쟁), 대만(양안갈등)과 한 분쟁 사례를 보면 보복 조치는 금방 끝날 것 같지 않다. 분쟁 전 방일 중국인이 100% 늘어났던 일본은 1년 동안 분쟁이 지속되면서 최대 47%의 여객이 감소했다. 대만은 차이잉원 정권 출범 후 양안관계가 경색되면서 2015년 10% 증가했던 여객이 지난해 16% 줄었고, 올해는 42% 줄어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비춰보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청주공항은 대외 정치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최대 피해자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항공사는 '노선다변화'로 청주공항이 처한 제2의 위기를 돌파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5일 러시아 2개 노선에 이어 캄보디아 씨엠립, 타이페이, 다낭, 도쿄 등 신규 취항을 추진하고 있다.
시의 적절하고 핵심을 찔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문제는 국내·국제선의 확장·지속가능성.
우선 공항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2022년 완공 예정)과 같은 내륙 연결 교통망을 확충해 공항 접근성을 더욱 향상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수년내 개항 예정인 김해신공항·울릉공항 등 4개 신공항과의 연결성 문제, 청주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지역내 저비용항공사(LCC) 출범 논의, 대선 후 위상 강화가 예상되의 세종·대전시 등 중부권에서 새로운 기회요인을 찾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다.
[청주 =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