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기보, 창업보증 8조원까지 확대··공사 전환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술보증기금은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2020년까지 창업보증공급을 현재 연간 5조원에서 8조원 수준까지 늘리기로 했다.

김규옥 기보 이사장은 2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창업기업에 대한 보증지원을 2020년까지 8조원으로 확대하겠다”며 “창업금융 확대로 향후 5년간 기술기반 창업기업 약 13만개 이상을 지원해 약 2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관련 분야의 새로운 보증상품을 내놨다.

‘인더스트리 4.0 퍼스트 보증’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 우수기술을 보유한 핵심기업에 3년간 연간 1조원씩 총 3조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4.0 스마트팩토리 보증’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과 이를 공급하는 기업에 보증비율과 보증료를 우대하고 심사기준을 완화해 3년간 6000억원을 지원한다.

대기업 출신 창업자 지원을 위한 보증 상품도 내놨다. ‘마이스터 기술창업보증’는 대기업에서 5년 이상 기술경력이 있는 사람이 대기업 퇴직 후 1년 이내 창업한 기업으로 기술평가등급 A등급이나 20년 이상 기술경력일 경우 최대 20억원까지 지원해주는 상품이다. 기보는 여기에 3년간 6000억원을 지원한다.

김 이사장은 “창업금융을 확대하면 향후 5년간 기술기반 창업기업 약 13만개 이상 지원, 약 20만명의 고용창출 등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보는 또 실패한 기업이라도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경우 재기 창업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보는 복권기금 등으로 재원 1000억원을 확보해 5년간 2500개 업체에 5000억원의 재창업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1만3000개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이사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기보를 금융공사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보는 현재 기금을 관리하기 위한 특별법인 형태이기 때문에 보증 업무 이외에는 다른 업무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업형 공기업으로 전환하면 현재 보증 업무 이외에도 기술평가를 통한 직접 투자나 채권 발행을 통한 자체 자금 조달이 가능해진다.

김 이사장은 “국민주택기금을 국민주택공사가 운영하는 것처럼 좀 더 적극적으로 전문적인 업무를 하려면 사업형 공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획재정부나 금융위원회, 중소기업청과 협의해 창업을 지원하는 플랫폼 기관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임지선 기자 vision@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