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식용견 농장’에서 구조됐다… 해외에서 이름이 생겼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해외 입양 간 개들 ‘비포 & 애프터’】

더러운 털 잘라내니 드러난 눈빛

“다른 개와 달리 사람 곁을 떠나지 않아”

HSI, 2년간 800여 마리 해외 입양

“개 식용 문화 끊어야 개 농장 사라져”



한겨레

BEFORE. 지난 3월 경기도 고양시의 개 농장에서 발견된 ‘카메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AFTER. 미국 임시보호처에 머무는 ‘캐머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식용견 농장에서 구조된 개들은 어디로 갈까.

국제동물보호단체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 한국지부는 2015년 1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2년 동안 경기도 고양시 일산, 충청남도 홍성·해미, 강원도 원주 등지의 식용견 농장 7곳을 폐쇄하고 800여 마리의 개를 구조했다. 농장 주인들이 농장 폐쇄를 먼저 요청했기 때문에 구조는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구조팀은 개 농장에 큰 개만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려견으로 키우는 몰티즈나 치와와 같은 소형견부터 말라뮤트, 골든리트리버 같은 개를 포함해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개가 있었다. HSI 구조팀은 “개 식용 농장인 줄 알면서도 일부러 소형견을 버리고 가는 사람들이 있다. 누군가의 반려견이었던 아이들이다”라고 전했다.

개들은 단체와 연결된 보호소 300여곳을 통해 미국과 영국(8마리)의 가정으로 입양간다. HSI는 한국보다 외국에서 입양 보내기 쉽다고 설명했다. HSI 캠페인 매니저 김나라씨는 “한국에서는 크기가 큰 개는 식용견, 크기가 작거나 순종인 개는 반려견이라고 생각한다. 외국에서는 크기와 종을 구분하지 않고 다 반려견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동물보호단체는 잡아먹기 위해 개를 우리에 가둬 키우는 산업이 끝나려면 보신탕, 개 식용 문화가 사라져야 한다고 지적해왔다. 지난해 정부가 추정하는 전국의 식용견 농장은 1만7076곳이다. 여전히 그 수가 많다.

좁고 더러운 우리 안에서 이름 없이 살던 개들은 바다 건너가서야 새 삶을 얻었다. 이름이 생겼고 새 가족을 만났다. 해외로 입양 간 개들을 <한겨레>가 소개한다.

첫 번째 소개한 몰티즈 믹스 수컷 ‘캐머런’은 지난 3월 경기도 고양시의 개 농장에서 구조됐다. 오물이 묻은 캐머런의 털은 엉켜있었다. 목에는 짖지 못하도록 전기충격기가 달려있었다. 농장주는 농장 앞에 버려져 있던 캐머런을 데려와 밥을 먹였다고 한다. 현재 미국에서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 캐머런의 임시보호자는 “캐머런은 다른 애완견과 다르다. 종일 사람과 붙어있으려고 한다. 산책을 함께하며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AFTER. 영국으로 입양 간 후 ‘포펫’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강원도 원주의 개 농장에서 구조된 암컷 치와와 믹스 ‘포펫’은 현재 영국에서 산다. 누군가의 반려견이었던 포펫은 농장 앞에 버려진 채 발견됐다. 식용견이라기에는 몸이 너무 작았다.

한겨레

AFTER. 미국 워싱턴으로 입양간 ‘앨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포펫과 같은 농장에서 구조된 스패니얼 믹스 ‘앨리스’는 농장에 있을 때 사람만 오면 케이지 구멍으로 목과 발을 뺀 채로 울었다고 한다. 구조팀이 처음 앨리스를 발견했을 때 케이지 구멍에 끼인 줄 알았지만, 앨리스는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비명 섞인 울음을 냈던 것을 알았다. 앨리스는 몸이 많이 말랐고 피부병이 심해 털 빠짐이 심했다. 앨리스는 미국 워싱턴에 사는 멜라사 루빈(사진)씨 가정에 입양됐다.

한겨레

AFTER. 미국에서 머무는 ‘애슐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진돗개와 아키타(일본개)의 믹스인 ‘애슐리’(갈색 털)는 2015년 3월 충청남도 홍성의 개 농장에서 구조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보호소를 거쳐 재키 스티븐슨 씨의 가정에 입양됐다. 애슐리는 처음 구조됐을 때 5.4㎏으로 작았지만 22.6㎏까지 자랐다. 아직 낯선 이들은 무서워한다고 한다. 스티븐슨 씨는 “애슐리는 우리 집에 온 순간부터 우리의 즐거움이 됐다. 애슐리는 모든 사람과 뽀뽀하고 공놀이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전했다.

한겨레

AFTER. 미국으로 입양 간 후 ‘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 3월 충남 홍성에서 입양된 진돗개 ‘조이’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후안 에스테반델가도씨 가정에 입양됐다. 후안씨는 “조이는 표범 모양 봉제인형을 가지고 놀아줄 때 가장 신이 난다. 점프하면서 표범 인형을 물고 돌아다닌다”라고 말했다. 후안씨는 조이가 후안씨 자녀들과 친해질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했다.

한겨레

AFTER. 미국의 보호소에서 뛰놀고 있는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코렐리우스는 지난 3월 경기도 고양시의 농장에서 구조됐다. 농장에서 태어나고 농장에서 자랐다. 코렐리우스가 살던 작은 케이지 안에는 12마리의 작은 개들이 모여있었다. 구조팀은 코렐리우스가 구조되던 순간까지 저항했다고 했다. 따뜻한 사람의 손길이 낯설었기 때문일까. 지금은 미국 메릴랜드 주의 한 보호소에서 입양가족을 만나길 기다리고 있다.

한겨레

AFTER. 미국 시애틀에서 새 가족을 만난 ‘포켓’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 9월 충청남도 해미의 개 농장에서 구조된 도사견 종류인 포켓은 미국 시애틀의 마틴 스튜어트 씨 가정에서 지낸다. 구조팀원이기도 한 스튜어트 씨는 “포켓은 동생 강아지 버켓과 자녀들과 즐겁게 지낸다”고 전했다.

한겨레

충청남도 해미의 식용견 농장 우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사진/휴메인소사이어티인터네셔널 제공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대선 팩트체크] [페이스북] [카카오톡]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