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美의회 "트럼프, 모든 軍대응 고려 중…최후수단으로 사용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컨더리 보이콧이 우선…北 행동변화 희망"

경제제재 강도 높이는 美, 차량 타이어 수입까지 막겠다

美태평양 사령관 "곧 사드 가동"…WP "워싱턴-평양 치킨게임 시작"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2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對北) 제재 발표 이후 비공개 브리핑에 참석했던 일부 미 상원 의원들은 군사대응에 대해 우려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경제제재와 외교적 압박 수위를 높여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만들겠다는 새로운 대북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크리스토퍼 쿤스 민주당 상원의원은 브리핑 이후 기자들과 만나 “백악관 브리핑은 여전히 필요하다면 군사적 대응을 검토할 수 있다는 심각한 브리핑이었다”면서 “북한의 위협은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사항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드 크루즈 공화당 상원의원은 “미군은 최소한의 군사조치부터 더욱 중요한 군사행동에 이르기까지 북한의 우발적인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가능한 모든 군사 옵션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는 군사 대응 없이 경제제재와 외교압박을 통해 북한 정권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코리 가드너 공화당 의원도 “정부의 대안 목록에는 제대로 된 군사 공격이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면서 “다만 군사조치는 최후의 수단이며, 우선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의 개인, 단체, 기업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 제재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세컨더리 보이콧이란 북한 무기 수출입을 돕는 경우 재정적으로 불이익을 주는 제재다. 익명의 정부 관료에 따르면 북한군 창건일 퍼레이드 차량에 쓰인 타이어까지 수입된 것인데, 트럼프 정부는 이러한 거래까지 모두 틀어막으려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중국 국영신문 글로벌타임즈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정책으로 북한이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워싱턴과 평양의 치킨게임이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미 하원 군사위 청문회에 참석한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군 사령관은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 시나리오를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김정일 정권이 핵무기 개발 목표를 달성하면 한국과 일본 국민, 그리고 두 나라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을 죽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 배치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장비가 곧 가동에 들어간다”면서 “(사드가 본격 가동되면)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에 맞서 한국을 더 잘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