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트럼프 정부, 첫 대북 성명…"경제제재 확대해도 외교협상 문 열어두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무-국방장관-DNI국장 공동명의 성명서 발표

"북핵, 긴급한 국가안보 위협-최우선 외교과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경제 제재를 강화하면서도 외교적 협상 가능성을 동시에 열어둠으로써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만들겠다는 새로운 대북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특히 이는 대북 선제타격을 비롯해 모든 옵션을 고려한다는 기존의 강경 대응과 달리 협상의 여지를 열어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 장관, 댄 코츠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백악관에서 상원의원 전원을 초청해 대북 브리핑을 가진 뒤 공동 명의로 내놓은 성명에서 북한과 북한의 핵위협에 대해 “긴급한 국가 안보 위협이자 외교정책의 최우선순위”라고 적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은 경제 제재를 강화하고 우리 동맹국 및 역내 파트너들과의 외교적 조치를 추구함으로써 북한이 핵·탄도 미사일, 핵확산 프로그램을 해체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성명은 북한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과 핵·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과거 노력은 실패했다”고 전제한 뒤 “미국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로운 비핵화를 추구한다”면서 “우리는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협상의 문을 열어두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우리는 여전히 우리 자신과 동맹을 방어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필요할 경우 군사적 대응도 늦출 생각이 없음을 시사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핵 위협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대화의 길로 돌아오도록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들이 북한에 대한 압력을 키우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성명은 “우리는 역내 안정과 번영을 보전하고자 협력하고 특히 한국과 일본을 위시한 동맹국들과의 조화와 협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성명은 트럼프 정부의 외교안보팀이 낸 첫 대북 합동 성명이다.

다만 이날 브리핑 이후 기자들과 만난 크리스토퍼 쿤스 민주당 상원의원은 “백악관 브리핑은 여전히 필요하다면 군사적 대응을 검토할 수 있다는 심각한 브리핑이었다”며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