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TV토론]文·洪·劉 북핵·사드 설전…安·沈 전작권 공방(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沈 "보수 가짜안보" 공세에 洪·劉 "김대중-노무현 대북송금 탓"

북핵문제 해법은 '다자외교', '전술핵',·'사드'로 갈려

뉴스1

25일 경기도 고양시 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서 열린 중앙일보-JTBC-한국정치학회 공동주최 2017 대통령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후보들이 원탁에 앉아 토론하고 있다. 열두시방향부터 시계방향으로 심상정 정의당 후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손석희 JTBC 보도담당사장,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2017.4.25/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서울=뉴스1) 최종무 기자,유기림 기자,서미선 기자 = 25일 경기 고양 일산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서 JTBC·중앙일보-정치학회 공동주최 대통령후보 초청 4차 TV토론회에 나선 5명의 후보들은 북핵·미사일 문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배치 등의 문제를 놓고 난타전을 벌였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이날 토론에서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참담하게 안보에 실패했다. 안보 무능 정권이었다"며 "그 점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안보를 말할 자격이 없다. 가짜안보 세력'이라 규정한다"고 비판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 역시 "보수는 안보를 늘 정치와 정권 안정에 이용했다"며 "천문학적인 방산비리를 방조한 것이야말로 반국가적 행위이고, 그런 사람들이 바로 종북세력"이라며 "그동안 보수가 주창한 안보 제일주의는 가짜 안보"라며 보수 진영을 비판했다.

하지만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지금의 북핵 위기에 대해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탓을 하는데 지금의 핵 위기는 김대중·노무현 정부때 70억불 이상을 북에 퍼줘서 생긴 것"이라면서 "북한이 그동안 돈을 축적해서 만든 것을 왜 그런 탓을 하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역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해 분명히 짚어야 한다"며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 받은 돈으로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다"고 지적했다.

북핵 개발에 따른 책임 문제와 사드배치 문제를 놓고는 문 후보와 유 후보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유 후보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북에 흘러든 돈으로 1차 핵실험이 진행됐다"며 "좋게 말하면 두 대통령이 속아서 현금을 다 퍼주는 사이에 핵 미사일의 기초적 개발이 다 됐고 그 증거가 1차 핵실험이고 그 뒤엔 고도화, 소형화, 경량화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문 후보는 "북한 핵미사일에 대해 대비책이 필요하다면서 사드 배치를 꼭 해야한다고 하는데 북한 핵이나 미사일에 대한 우리의 방어체계, KAMD 킬체인을 연기한 것이 누구냐"고 반문했다.

그러자 유 후보는 "2006년 10월 노무현 정부 때 핵실험을 했으니 문 후보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란 점을 분명히 말한다"면서 "핵미사일이 실전배치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는데 왜 사드 배치를 반대하냐"고 따져물었다.

문 후보는 유 후보의 지적에 "(사드를 배치하면) 다음 정부의 북핵 폐기 카드, 중국의 북핵폐기 공조 카드가 어디 있겠냐"며 "그러한 권한을 가져야 북핵 문제도 중국과 해결할 수 있다"고 응수했다.

홍 후보와 문 후보는 군 가산점제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문 후보는 "군가산점제에 동의하느냐"는 홍 후보의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군대를 못가는 분도 생각을 해야 하고, 군대에 가면 호봉 가산이나 크레딧을 준다든지 다른 방식으로 보상하면 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와 심 후보는 전시작전권 환수에 공감하면서도 그 시기에 대해서는 온도차를 보였다.

안 후보는 "전작권 당연히 주권국가로서 가져와야 한다"며 "근데 그 전에 우리가 충분히 우리 스스로 지킬수 있게 실력 기르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심 후보는 "미국 우방국 60개국 중 군사주권, 전작권을 갖지 못한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다"며 "군사주권도 없이 강국을 만들자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북핵문제 해법과 관련해선 문 후보는 '다자외교'를 통한 해법을, 홍 후보는 전술핵 배치, 유승민 후보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ykjmf@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