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주요 항구도시 외래식물 최근 7년 간 12% 이상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포천=뉴시스】배성윤 기자 =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최근 7년 간 우리나라 주요 항만 도시의 외래식물 구성 비율이 2010년 36.3%에서 2016년 48.6%로 12%포인트 이상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2008년부터 인위적인 외래식물 유입과 확산의 경로를 목장, 산업도로 및 항구 지역으로 구분하고 외래식물상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주요 항구도시 3곳을 대상으로 부둣가와 화물 이동경로인 도로 및 철로, 개발지, 빈터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지난 10년 간 새로 확인된 외래식물이 갈퀴지치 등 8종에 이를 정도로 항구 지역은 외래식물 유입의 경로로 확인됐다.

이 연구를 통해 항구도시의 전체 식생에서 외래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10년 36.3%에서 2013년 42.3%, 그리고 2016년 48.6%로 매년 약 6%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항구도시에서 외래식물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은 국제 무역이 꾸준히 증가하여 외래식물이 유입될 기회가 함께 늘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한 도로, 철도, 그리고 제방 건설 등의 외래식물이 정착하기 좋은 개방된 나지라는 점도 원인으로 꼽혔다.

이 연구를 주관한 정수영 국립수목원 박사는 "외래식물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자생식물을 사라지게 만들거나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라며, "외래생물이라는 이유만으로 원산지를 따져 생물종을 없애는 활동보다는 외래식물의 기능, 그리고 유입 후 변화된 자생종들과의 생물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활동이 먼저 이뤄져야 하고, 국내 유입이 확인된 외래식물의 귀화 여부 또한 장기적 시각에서 평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shinybae@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