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지주사 전환 앞둔 롯데 `신동주 변수` 또 부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롯데그룹의 지주사 전환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다시 경영권 분쟁이란 군불때기에 나섰다. 롯데그룹은 동생 신동빈 회장에 대한 우호지분 구도에 변화가 없는 이상 신 전 부회장의 역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일본 롯데 홀딩스가 국내 다수 계열사를 지배하고 있는 만큼 향후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신동주 변수가 미칠 영향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는 6월 형제간 네번째 표결 이뤄지나

24일 재계에 따르면 신동주 전 부회장은 21일 니혼게이자이 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자신의 이사 복귀 안건을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최근 자신이 대표로 있는 광윤사 설명회를 열고 동생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불구속 기소와 동시에 성명을 내며 경영권 탈환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는 6월 하순 예정돼 있다. 만약 이번 주총에서 신동주 전 부회장의 복귀를 놓고 표대결이 이뤄지면 이는 지난 2015년 처음 신동빈 회장과의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이후 네번째 형제간 표결이 된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2015년 8월, 2016년 3월과 6월 세차례 열린 홀딩스 표결에서 신동빈 회장에게 모두 패했다.

그럼에도 신동주 전 부회장이 또 다시 경영권 도전에 나선 이유에는 최근 신동빈 회장이 경영자로서의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 불구속 기소되면서 도덕적 흠결이 생겼으며, 그룹 경영은 상당 기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동빈 회장은 지난 17일 최순실 게이트 관련 횡령·배임·뇌물 등 여러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면서 앞으로 거의 1년 동안 다수의 재판 준비와 출석에 매달려야하는 처지가 됐다.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은 "오는 6월 열릴 주총 상황은 지금까지는 다르다"며 "신 부회장이 뇌물공여죄 등으로 불구속기소된 만큼 이는 경영자로서 자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롯데, 지주사 전환 통한 지배구조 개선…'뉴롯데' 리더십은 더욱 강화

롯데그룹은 현재 지주사 체제 전환을 위한 1단계 작업으로 유통식품 계열사의 분할 합병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해 이르면 오는 26일 롯데쇼핑과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푸드 등 4개 회사의 이사회를 함께 열어 이들의 분할과 합병을 결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쇼핑과 롯데제과가 국내 다수 계열사의 지분을 갖고 있는 만큼 이번 지주사 전환 작업을 통해 계열사 간 순환출자의 고리 수는 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 현재 국내 롯데그룹 지주회사 격인 호텔롯데 상장도 진행해 일본 자본의 비중을 큰 폭 줄인다는 게 롯데그룹의 방침이다. 롯데 관계자는 "신동빈 회장은 지난해 10월 검찰 수사 후 발표한 '개혁안'에서 순환출자 해소와 지주회사 체제 전환, 호텔롯데 상장 등을 약속한 바 있다"며 "이같은 약속을 지켜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그룹에 대한 지배력은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는 계열사 이사에서 해임된 신동주 전 부회장이 지주사 전환 작업에 끼어들 틈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오는 6월 신동주 전 부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이사로 복귀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국내 다수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가 향후 지주사 전환 과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홀딩스의 주요주주는 광윤사(지분율 28.1%)를 비롯해 종업원지주회(27.8%), 관계사(20.1%), 임원 지주회(6%)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에 대해 롯데 측은 "신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에서 종업원지주회와 관계사와 임원 지주회 등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차례 표 대결에서 입증됐다"며 "신 전 부회장의 복귀 시도는 롯데의 위기를 이용해 경영을 방해하려는 시도일 뿐"이라고 '경영권 변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신동빈 회장은 그 동안 지주사 전환 작업을 그룹의 과제로 손꼽아왔다. 창립 50주년을 맞아 뉴롯데의 리더십 강화에 필수라는 판단 때문이다. 최근 검찰의 출국금지 조치가 해제된 만큼 일본에도 방문해 경영 현안을 챙길 수 있기 때문에 경영권 유지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재계 안팎의 시각이다.

[디지털뉴스국 방영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