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해외건설 지원기구 5월 입법추진 시동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월 신설 목표…"해외 인프라 수주 마중물될 것"

뉴스1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과 야세르 하산 아불 쿠웨이트 주택부 장관이 2016년 5월9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사우드 사드 알 압둘라 신도시 개발협력 양해각서(MOU)'에 서명 후 악수를 하고 있다.. 2016.5.9./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다음달 중순 해외건설 지원기구 설립을 위한 입법발의가 추진된다. 법안통과가 이뤄질 경우 빠르면 6월 기구운영이 본격화돼 우리기업의 해외 인프라 수주를 지원하게 된다.

24일 정부 관계자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해외건설 지원기구는 지난해 부진했던 해외건설수주에 대한 해법으로 올해 국토교통부 업무계획에 포함된 정책이다.

실제 2010년 716억달러까지 상승했던 우리나라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실적은 저유가로 인한 중동 플랜트 발주의 급감으로 지난해 약 240억달러 수준에 그쳤다.

올 1분기 해외건설 수주액도 85억5000만달러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1억8000만달러에 못 미치고 있다.

국토부는 이 같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6월 지원기구 설립과 운영을 목표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오는 5월엔 해외건설 촉진법 개정안 발의를 통해 해외건설 지원기구 신설 근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개정안 발의는 국회의원을 통한 입법발의로 진행될 것"이라며 "현재 개정법안의 세부안을 짜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개정안 발의 시기는 대선이 끝나는 5월 중순 이후가 유력하다. 지원기구 규모 등은 이후 시행령 개정안을 통해 추진된다.

이 경우 6월 지원기구의 신설과 운영이 추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구의 초기 인력은 일단 20~30명 수준으로 시작해 필요에 따라 규모를 확대한다.

지원기구는 우선 민간 발굴사업의 타당성 조사와 정부협상 등을 지원하게 된다. 정부 간 협력 사업(G2G)에 대해선 국내 건설업체의 기획, 사업구조화 등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국내 건설업체가 해외 인프라의 투자개발 사업을 가져오면 리모델링을 통해 사업추진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철도나 댐, 신도시 건설 등 해외의 대형국책사업에선 정부 간 협상 대상자 역할도 맡게 된다.

국토부는 해외건설 지원기구가 본격화되면 최근 기지개를 켜고 있는 해외 인프라 수주 시장에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SK건설·대림산업이 중심이 된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최종 승인된 터키 1915 차나칼레 현수교 프로젝트도 우리 정부와 터키 간 다양한 정책협의 지원이 주효했다"며 "쿠웨이트의 압둘라 스마트시티 사업 등 중동시장의 인프라 시장이 다시 떠오르고 있는 시점에서 지원기구의 역할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h991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