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SK하이닉스, 차세대 그래픽 D램 개발…내년 초 양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SK하이닉스가 개발한 세계 최고 속도 16Gbps 20나노급 8Gb GDDR6. /제공=SK하이닉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배지윤 기자 =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 속도의 GDDR 그래픽 D램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제품은 20나노급 8Gb(기가비트) GDDR6로, 업계 최고인 핀당 16Gbps(Gb/sec)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구현했다. 최고급 그래픽 카드에서 많이 채용하는 384개의 정보입출구(I/O)를 활용해 초당 최대 768GB(기가바이트: 16Gbps x 384개 I/O)의 그래픽 데이터 처리도 가능하다.

SK하이닉스는 고성능 그래픽 D램을 탑재하는 고객의 차세대 최고급 그래픽 카드 예상 출시시점인 내년 초에 맞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그래픽 D램은 PC·워크스테이션·영상재생 기기·고성능 게임기 등에서 그래픽 카드의 명령을 받아 동영상과 그래픽을 빠르게 처리하는데 특화된 메모리 제품이다. 그 중 GDDR6는 JEDEC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고성능 그래픽 D램으로, 기존 GDDR5 대비 최고 속도가 두 배 빠르다. 동작 전압도 10% 이상 낮췄다.

현재 시장 주력 제품인 GDDR5와 GDDR5X를 내년부터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주요 그래픽 칩셋 고객과 시장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

오종훈 SK하이닉스 D램설계본부장 전무는 “세계 최고 속도를 갖춘 차세대 그래픽 D램인 GDDR6를 개발해 고품질, 고성능 그래픽 메모리 시장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고성능 그래픽 카드에 최적화한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 제품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DDR6는 인공지능(AI)·가상현실(VR)·자율주행차·4K 이상의 고화질 디스플레이 지원 등 차세대 성장 산업에서 필수적인 메모리 솔루션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그래픽 카드용 D램 탑재용량은 평균 2.2GB에서 2021년에는 평균 4.1GB로 늘어나며 연평균 17% 수준의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