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선 2차 TV토론]문 "부자 증세, 안 "제대로 된 누진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두 번째 대선 TV토론에 앞서 정의당 심상정 후보, 자유한국당 홍준표, 바른정당 유승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왼쪽부터)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번 대선 토론은 사상 첫 스탠딩 토론으로 진행됐다./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 후보 5명이 조세 정책에 대한 입장을 나타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9일 2017 대선후보 KBS초청토론에서 “부자, 재벌, 대기업 중심으로 증세가 이뤄지고, 고소득자 과세 강화, 자본소득 과세 강화, 500억원이상 대기업 명목세율 인상 등으로 증세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조세형평을 위해서는 소득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며 “제대로 된 누진제를 적용하고, 많이 버는 사람은 많은 비율의 세금을 내는 게 당연하다”고 답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2000만원 버는 사람에게 10만원의 세금은 매우 크지만 2억원 버는 사람은 1000만원을 내도 1억9000만원을 쓸 수 있다”며 “공동체를 위한 나눔의 정신, 누진적으로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세제의 투명성이 제고 돼야 한다. 복지에 필요한 돈을 그 목적으로만 쓰는 사회복지세를 국민께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우리나라 국민의 35~40%가 세금을 안내고, 상위 20%가 전체 소득세 93%를 낸다. 그렇기 때문에 부자감세, 부자감세 하는 것은 무리한 측면 있다”며 “법인세도 감세해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일자리도 많이 생기고, 기업이 활성화된다”고 말했다. 이어 “주로 봐야할 것은 탈세다. 특히 전문가 직종의 세수 결함이 많아 탈세를 적극 막아서 제대로 걷어들이는 것이 조세정의”라고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고 재산있는 곳에 세금있다. 소득이 더 많은 사람이, 재산을 더 많이 가진 사람 더 내는 이원칙 확실히 지키면 된다”고 했다. 그는 “저는 중부담 중복지를 원칙으로 OECD 평균 수준의 복지를 원한다면 단계적으로 증세하겠다”고 말했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