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세월호 3년의 아픈 상처' 팽목항에서 목포 신항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침몰 1천72일 만에 수면위로 모습을 드러낸 세월호는 인양이 완료되면 반잠수식 선박에 선적돼 약 87㎞ 떨어진 목포 신항에 거치 됩니다.

목포 신항 이동 채비, 이동 후 고박 해제 및 선체 하역 준비, 선체 육상 거치 등 절차를 거치면 이르면 다음 달 4일 인양·거치 공정이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세월호 선체가 '무사히' 목포 신항에 거치하면 합동수습본부를 현지에 설치하고, 진도 팽목항에 있던 유가족 지원 시설도 옮겨올 계획입니다.

팽목항은 사고 현장에서 뱃길로 1시간 거리로 세월호 침몰의 상징적 공간으로 각인됐는데, 앞으로는 목포 신항에 이목이 쏠릴 것으로 보입니다.

목포 신항으로 옮겨지는 세월호를 있는 그대로 보전할지, 해체할지, 보존한다면 어디에 둘 것인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팽목항 주민 김모씨는 23일 "팽목항에서 언제면 지친 기다림의 끝이 올까 생각했는데 세월호가 인양되는 것을 보니 희생자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목포 신항으로 옮겨지는 세월호에서 미수습자들의 흔적을 찾고 침몰원인이 규명되고 진상이 밝혀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 [SBS 특보 LIVE] 1072일 만에 인양… 떠오른 세월호
☞ 세월호 추모 캠페인 동참하기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