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외식산업연구원 "AI로 전체 치킨집 86%서 매출 30%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넉 달 동안 치킨 전문점 10곳 중 8곳에서 매출이 줄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은 지난 17~18일 전국 치킨 전문점 207곳(프랜차이즈 154곳, 비 프랜차이즈 53곳)을 전화조사 한 결과 전체 86%가 AI 때문에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평균 매출감소율은 29.7%로 나타났다. 외식산업연구원은 특히 영세한 비 프랜차이즈 치킨집의 92.5%가 매출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며 프랜차이즈 매장(83.8%)보다 피해가 더 컸다고 강조했다.

치킨전문점들은 AI가 발생한 11월과 비교해 올해 1~2월 생닭 평균 구입 가격이 12.6% 상승했다고 답했다.

이중 비 프랜차이즈 매장은 96.2%, 프랜차이즈 매장은 83.8%가 가격이 올랐다고 밝혔다. 프랜차이즈 매장은 가맹본사를 통해 생닭을 공급받아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고, 개인이 운영하는 곳은 시세 변화에 직접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매출 감소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치킨 판매가격을 올린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업체는 1.9%, 비 프랜차이즈 업체는 17%가 가격을 올렸다고 응답했다.

외식산업연구원은 정부가 치킨가격을 인상 자제하라는 의지를 강하게 밝히면서 업계가 '딜레마'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서용희 외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치킨 전문점의 매출액에서 식재료비가 약 47%를 차지하는 반면 영업이익 비중은 16%에 불과하다"며 "매년 반복되는 AI 파동으로 정부 책임론이 불거지는 상황에서 정작 피해를 양계농가와 치킨 전문점이 고스란히 지고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장수청 외식산업연구원 원장은 "치킨 전문점 판매가격의 인상이 정부의 제동으로 임시 후퇴한 상황"이라며 "서민물가 관리 측면에선 이해가 가지만 가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하는 생닭 가격을 안정시키는 등 근본적 해결책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