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박 전 대통령 구속 땐 동정론 확산?…대선 파급 효과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 문제는 그 방향에 따라서 대통령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정치부 유선의 기자와 짚어볼텐데, 그 영향이 어느정도될 것이냐에 대해선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짚어보죠.

유선의 기자, 우선 검찰의 수사 자체가 대선에 영향을 줄 가능성, 없다고 보기 어렵겠죠.

[기자]

네, 자유한국당에서는 수사 자체가 대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검찰 수사를 대선 이후로 미루라고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그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수사를 바로 시작했는데요, 법조계에서는 이번 조기대선의 직접적인 배경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인만큼 그 수사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정확한 실체를 알리는게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실제로 미뤘다면 국민적 관심사임에도 틀림없는 것을 지키지 않는 것이 되니까 여론이 좋지 않았겠죠. 대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가운데 하나가 박 전 대통령의 구속 여부일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여론의 움직임이 곧 대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해볼 수 있겠는데요, 이틀 전 한겨레가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구속수사를 주장한 사람은 68.8%였습니다.

불구속 수사 혹은 수사 중단을 요구한 수치를 합친 것보다 2배 이상 많았습니다.

[앵커]

그럼 구속이 되는 경우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기자]

구속이 된다면 일각에서는 박 전 대통령이 구속에 따라 동정여론이 일 수 있고, 지지층이 결집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는 합니다.

하지만 수치로는 실제로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탄핵 인용 전인 지난 5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구속수사를 요구하는 비율이 67.8%였습니다.

그런데 같은기관의 조사에서 탄핵 인용 이후인 19일에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구속수사를 요구하는 비율이 68.8%로 오히려 1%P 올랐습니다.

[앵커]

물론 오차범위 내이기 때문에 올랐다 내렸다고 얘기하긴 어렵지만 결코 변하지 않았다는 쪽으로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파면 이후에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동정론은 거의 없었다는 얘기가 되는거네요.

[기자]

파면과 구속은 다른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물론 구속이 되면 동정론이 일시적으로 일 수 있다는 분석도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구속된다면 검찰뿐 아니라 법원까지 구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 되기때문에 수사의 필요성과 파면이 더욱 정당성을 부여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재판 과정에서도 현재까지 나오지 않은 혐의 내용들이 추가로 공개될 수 있기때문에 여론이 동정론보다 비난쪽으로 커질 가능성도 작지 않습니다.

[앵커]

불구속 기소되는 경우는 어떻습니까.

[기자]

앞서 여론조사 결과를 보신 것처럼 현재의 여론은 구속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여론이 우세합니다. 하지만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제대로 된 이유가 이유가 있어서 구속수사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예우차원에서 구속 수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앞서 박 전 대통령과 공범으로 검찰이 지목한 사람들의 경우엔 대부분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비판 여론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불구속 상태에서는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 메시지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제스처가 취해질 경우 박 전 대통령의 지지층과 반대층에서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유선의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