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전이 암세포'는 어떻게 살아남을까…국내 연구진 첫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세대·기초지원연구원 연구팀 '암세포 대사조절 기제' 밝혀내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전이되는 암세포가 살아남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육종인 교수·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황금숙 박사 연구팀이 암세포의 전이 과정(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나가는 것) 중 대사 경로를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합뉴스

왼쪽부터 육종인 교수·황금숙 박사·김남희 교수(제1저자)



전이 암세포는 증식 과정에서의 암세포와 달리 포도당 공급 부족 등 다양한 대사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살아남아야 한다.

증식 암세포는 동화작용(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전이 암세포의 대사 작용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전이 과정에서 암세포가 포도당 공급이 없는 기아 상태를 극복하고 살아남기 위해 특정 단백질을 이용해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전이 암세포는 '스네일'이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대사물질인 'PFKP'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생존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전이 모델에 대한 실험에서도 암 유전자인 스네일은 폐 전이를 증가시키는데, 여기에 PFKP를 주입하면 폐 전이가 억제됐다.

암세포의 증식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합성 작용을 통해 이뤄진다면, 암세포의 전이는 에너지를 얻는 '이화작용'(분해)을 통해 진행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대부분이 암세포 증식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치료 후 발생하는 전이에 의한 것으로, 앞으로 암 치료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육종인 교수는 "그동안 연구가 전무했던 전이 과정의 암세포 대사 조절에 대한 최초의 연구 보고"라며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대사 치료 표적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학문후속세대양성지원사업 지원을 받았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월 8일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