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SK텔레콤, MWC서 4차 산업혁명 이끌 AI·5G 혁신 내세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첨부용///sk텔레콤


뉴시스

///첨부용///sk텔레콤


【서울=뉴시스】김동현 기자 = SK텔레콤이 27일(현지시각)부터 다음달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에서 'New ICT'가 구현된 새로운 세상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모든 것을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라는 주제로 MWC 전시장의 중심에 위치한 제 3전시장에 604㎡ 규모의 기업 전시관을 마련했다.

전시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이 될 5G와 AI 영역 등에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신기술을 선보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ICT 산업 생태계와 고객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미래 변화상을 제시하며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경쟁력 있는 벤처기업과의 제휴도 대폭 확대했다. SK텔레콤은 올해 스타트업·강소기업 참여 규모를 전년 대비 두 배인 8개 업체로 늘렸다.

특히 SK텔레콤은 자사의 벤처 육성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왔던 기업의 제품을 전시부스를 구축하는데 대규모로 활용했다.

◇차세대 AI 로봇 선보여…AI로봇 집사와 함께 영어 회화까지

SK텔레콤은 기술 혁신과 함께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한 AI 생태계 확장을 전면에 내세웠다.

SK텔레콤은 ▲자사 차세대 AI 로봇 ▲외부 개발사 AI 연동 로봇 ▲왓슨 기반의 AI '에이브릴'과 연동된 '누구' 등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이 선보인 차세대 AI 로봇은 음성 인식 기술에 영상 인식 기술을 더한 탁상형 기기다. 기존 AI 기기와 달리 카메라 및 화면이 장착된 헤드 부분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용자가 이 기기를 부르면 헤드 화면 부분이 이용자 방향으로 회전한 뒤 계속 이용자를 따라다닌다. 헤드의 움직임, 화면 그래픽을 활용해 더 풍부하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감성적 표현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향후 독자 개발한 '지능형 영상인식 솔루션'을 탑재해 얼굴 인지 기반의 개인화 시스템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가족 구성원 별 맞춤형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유아용으로 만든 아이챌린지 호비 기반의 토이봇(Toy Bot) 시제품도 선보였다.

직접 개발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집안 WiFi를 활용해 "엄마 보고 싶어"라고 말하는 것 만으로도 부모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인공지능 '누구'와 연동한 ▲애완동물처럼 이용자를 따라다니는 펫봇 ▲결제 기능을 강화한 커머스봇 등 외부개발사들의 로봇 시제품들도 선보였다.

◇초고화질 실시간 360 VR 서비스와 5G 커넥티드 카 등도 '눈길'

SK텔레콤은 혁신적 5G서비스로 초고화질 실시간 360 VR인 '360 Live VR'과 커넥티드 카 'T5'를 내세웠다.

'360 Live VR'은 360도 전 방위를 UHD고화질로 생중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결합해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총 6개 카메라 화면에 해당하는 초고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5G시대를 맞아 본격 활성화될 서비스로 기대되고 있다.

5G 기반의 커넥티드 카 'T5'는 지난해 11월 SK텔레콤이 BMW코리아와 함께 공개한 바 있다. 'T5'는 20Gbps이상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1000분의 1초 단위로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oj1001@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