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취재수첩] 정경유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삼성전자, 기부금 투명성 강화…신뢰 회복 계기돼야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혼란이 여전하다. 국회는 작년 12월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했다. 헌법재판소는 탄핵인용과 기각여부를 심리 중이다. 헌재는 오는 27일을 탄핵심판 사건 최종변론일로 정했다. 탄핵 여부는 오는 3월13일 이전 결정이 유력하다. 어떤 결과가 나오든 한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미친 영향은 막대하다.

이번 일을 통해 드러난 한국의 민낯 중 하나는 '정경유착'이다. 국어사전엔 '정치계와 경제계가 서로 자신의 이익을 얻으려고 서로 깊은 관계를 가져 하나가 되는 일'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미르와 KT스포츠재단 기금 모금 과정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수많은 기업이 청와대로부터 거액의 출연금을 요구 받았다. 53개 기업이 774억원을 냈다. 비선실세로 여겨진 최순실도 이런 저런 방법으로 돈을 뜯었다. 기업은 박 대통령에게 최순실에게 돈을 준 것은 협박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을 그대로 믿는 이는 드물다. 그동안의 경험이 그렇다.

삼성전자가 24일 10억원이 넘는 모든 기부금과 사회공헌(CSR)기금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지출하겠다고 결정했다. 이사회 절반 이상은 사외이사다. 공시도 한다. 투명성을 높였다.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막겠다는 뜻이다. 후원금과 CSR기금 사전 심사도 강화한다. 관련 부서 팀장이 모여 매주 심의회의를 연다. SK텔레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앞서 비슷한 내용의 결정을 내렸다.

삼성 LG SK 현대차그룹 등은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을 탈퇴했다. 전경련은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에서 청와대와 재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했다. 정경유착 상징처럼 돼버렸다. 전경련은 박 대통령의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 시절 만들었다. 아버지에서 딸로 사람과 기업은 변했지만 큰 틀은 그대로다.

삼성 등 주요 그룹의 움직임은 재계 전체로 확대될 분위기다. 이번이 재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털어낼 수 있는 기회다. 우리도 제품이 아니라 기업 그 자체를 자랑스러워할 수 있으면 한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