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민주 ‘경선 토론회 횟수’ 파열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핵심판 선고전 1차례 개최 / 이재명측 “3회 약속 어겼다” / 경선 룰 협의 보이콧 움직임 / 文측 “탄핵전 서로 비판 자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출 경선에 파열음이 일었다. 당이 정한 후보자 간 토론회 횟수를 놓고 이재명 성남시장 측이 강하게 반발하면서다.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는 24일 회의를 통해 경선 과정에서 모두 9차례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디오 1회, 지상파 4사 공동 1회, 종편 5사 공동 1회, 방송사 개별 3회, 호남·충청·영남권역별 각 1회 등이다.

이 중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에는 3월3일 라디오 토론회 한 차례만 하기로 한 것을 놓고 캠프 간 반응이 크게 엇갈렸다.

세계일보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성남시장 선거캠프에서 활동하는 더불어민주당 정성호(가운데), 유승희(오른쪽), 제윤경 의원이 24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초 탄핵 전 3회, 총 10~11회 개최하는 것으로 논의된 토론회가 탄핵 결정 전 1회로 축소됐다"면서 "이런 깜깜이 선거로는 국민이 원하는 정권교체의 적임자가 누구인지 가려낼 수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연합


이 시장 측 정성호·유승희·제윤경 의원은 이날 당 선관위 회의 시작 전 “당초 탄핵 전 3회를 비롯해 총 10, 11회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논의된 내용이 실종됐다”며 “정치적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시장 측은 경선 룰 협의 보이콧을 진지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탄핵 심판 과정의 엄혹한 시점이라 당이 선뜻 결정하기 힘든 것도 인정하지만 모든 후보들의 토론 기회를 적극 보장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전 대표 측이 “탄핵 인용 전 대권을 놓고 후보자들이 서로 비판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좋지 않다. 탄핵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에 이 시장 측은 “유력 주자들이 탄핵의 정당성을 알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다른 선거운동은 다 하지 않느냐”고 맞서 왔다.

당 안팎에선 이번 선관위 결정에 친문(친문재인)계 입김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당 선관위 부위원장인 김상희 의원은 이와 관련해 “정치권이 탄핵에 집중해야 한다는 국민의 요청과 후보자 홍보·검증의 여유가 부족하다는 지적 사이에서 고민이 컸다”며 “전자의 요구가 더 크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