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與野서 번지는 2말3초 하야說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핵 심판 결정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박근혜 대통령 하야설(說)'이 확산하고 있다. 23일에는 여야 당대표와 중량급 정치인들까지 공개적으로 '하야설'을 언급했다.

정병국 바른정당 대표는 이날 당 회의에서 "(대통령은) 꼼수 사퇴 카드를 떨쳐 버리시고 당당하고 현명한 결정을 내리시길 바란다"고 했다. 정 대표는 지난 21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하야 날짜까지 거론하며 하야설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표는 본지 통화에서 "자유한국당과 정부 등 복수 관계자로부터 '오는 26일 박 대통령이 하야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도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이 자진 하야를 하면 바로 대선 정국으로 가고, 특검 수사 기간 종료로 수사를 넘겨받은 검찰은 대선 기간이라 실질적인 수사를 할 수 없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그렇게 꼼수를 부리려고 해선 안 된다"고 했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자연인으로 돌아갔을 때 사법 처리를 막을 생각으로 제안하는 거라면 정말 턱도 없는 소리"라고 했다.

바른정당은 오는 26일부터 매일 당 비상시국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와 관련, 김무성 의원은 '박 대통령 하야 분위기 때문에 열리는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렇다"고 했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도 거듭 "여야 정치력으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박 대통령이 3월 13일 헌재 탄핵 심판 결정 전에 사퇴할 것이란 이른바 '2월 말, 3월 초 하야설'도 돌았다. 민주당 소속 국회 탄핵소추위원인 이춘석 의원은 "탄핵 심판 선고 하루 이틀 전에 그런 걸 명분으로 하야하려는 것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탄핵 결정 이전 하야할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전직 대통령으로서 예우가 유지되고, 곧바로 60일간 대선 레이스에 들어가기 때문에 검찰의 구속 등을 피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든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하야설과 관련, "우리는 그런 걸 검토한 바 없고, 들은 바도 없고, 논의한 바도 없다"고 했다.



[선정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