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카톡으로 피자도 주문한다..임지훈 대표 '카톡의 진화' 강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 봄 카카오톡을 통해 피자와 치킨 등을 주문해 구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카카오 임지훈 대표가 카카오톡 안에서 구매와 예약, 상담까지 가능하게 만들겠다고 선언한 이후 처음으로 구체적인 방향이 제시된 것이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비서인 챗봇도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톡으로 본격적인 수익을 창출해 내겠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임 대표는 24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브런치 계정을 통해 '카카오톡, 2017년 이렇게 진화합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해당 글에는 올해 카카오톡의 진화 방향이 제시돼 있다. 임 대표는 "카카오톡은 개인과 개인을 연결해주는 메신저를 넘어 누구나 비즈니스와 서비스로 연결되는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 된다"며 "이용자든 파트너든 원하는 모든 것을 카카오톡 안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통해 생활의 진화
그동안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는 관심 있는 브랜드의 할인 이벤트 소식이 오면 쿠폰을 챙기는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올 봄부터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서 장보기와 쇼핑까지 가능해질 예정이다. 임 대표는 "카카오톡을 통해 장보기 서비스가 시작되고, 쇼핑도 훨씬 쉬워진다"며 "올 봄에는 피자와 치킨, 햄버거 등 20여개 프랜차이즈가 플러스친구를 통해 채팅하듯 간편하게 메뉴를 골라 주문하도록 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톡에 AI 기술이 적용돼 비서와 같은 역할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톡에 적용될 AI 기술은 챗봇을 의미한다.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알려주고, 궁금증에 대한 답을 챗봇이 알아서 제공하는 형태다. 이를 통해 공연 티켓이나 창작물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다. 임 대표는 "나를 가장 잘 이해하고, 무엇이든 척척 도와주는 비서 같은 카카오톡"이라며 "이 비서는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똑똑해질 전망"이라고 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임지훈 대표가 24일 자신의 SNS 브런치를 통해 올해 카카오톡의 변화 방향에 대해 밝혔다.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변신
카카오톡의 진화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변신도 담고 있다. 특히 과거 카카오가 집중했던 O2O(Online to Offline) 영역을 벗어나 큰 틀로 카카오톡을 확장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 등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오픈형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변신을 시도할 방침이다. 임 대표는 "플러스친구를 누구나 개설할 수 있는 오픈플랫폼으로 선보일 예정"이라며 "비즈니스를 하는데 너무 중요한 고객 확보와 유지 뿐 아니라, 내 비즈니스의 목적이 모두 카카오톡 안에서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톡을 통한 콘텐츠 유통 강화에도 나선다. 카카오톡은 지난해 7월부터 160여개 콘텐츠 파트너를 대상으로 플러스친구 베타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카카톡 채널탭의 클릭이 5배 이상 성장했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카카오톡은 올해 콘텐츠 유통 분야에서 본격적인 도약을 준비할 예정이다. 임 대표는 "오랫동안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로 사랑받아 온 다음의 저력을 톡 안에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방법을 모색중"이라며 "심심할 틈 없이 카카오톡 안에서 모든 정보와 재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익창출 본격화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진화를 통해 노리는 것은 수익화다. 카카오톡은 월간 활성이용자수(MAU)가 4191만5000명에 달할 만큼 전국민의 메신저로 자리를 잡았지만, 수익성이 없어 카카오의 큰 고민 중 하나였다. 그러나 카카오가 올해부터 카카오톡을 통한 본격적인 수익창출에 뛰어들면서 돈까지 벌어주는 메신저로 변신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는 쇼핑, 비즈니스 플랫폼 등을 통해 발생하는 거래에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챙길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다 카카오톡이 집중하고 있는 게임 분야도 수익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 12월 오픈한 게임전문 채널인 카카오톡 게임별은 B2B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 남궁훈 게임사업 총괄 부사장은 "카카오 게임별을 통해 B2B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대가 크다"며 "외식 프렌차이즈에서 정해진 시간에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 푸쉬를 전달하고, 경쟁을 통해 경품을 제공하는 등 게임 관련 상시 이벤트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