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슈퍼 달러’ 시대…미국 금리인상, 한국 실물경제까지 직격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이 1년 만에 금리 인상에 재시동을 걸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던 세계적인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4일(현지 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현재 0.25~0.5%인 기준금리를 0.50∼0.75%로 올렸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7년 만에 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뒤 1년 만에 다시 인상한 것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결정은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의 표시"라고 설명했다.

특히 연준은 시장의 예상을 깨고 내년에만 3차례 금리를 더 올려 금리 정상화에 속도를 낼 것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새 행정부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의 영향으로 금리 인상 속도가 이보다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따라 미 달러 가치가 14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고 엔화 가치가 10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지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이 같은 미국의 행보는 그동안 일제히 돈을 풀어 경기부양에 나섰던 각국 중앙은행이 '돈줄 조이기'로 돌아서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슈퍼 달러' 시대를 맞아 세계 자금 흐름이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 빠져나와 미국 등 선진국으로 환류(還流)하는 대격변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탄핵 정국에 휩싸인 한국 경제에 미국 금리 인상,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 외부 충격이 더해져 금융시장은 물론이고 실물경제까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겹겹이 쌓인 대내외 악재에 한국은행은 15일 기준금리를 연 1.25%로 6개월 연속 동결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어느 때보다 안팎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금융안정에 한층 더 유의하겠다"고 말했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뉴욕=부형권 특파원 bookum90@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