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국경제 내일이 없다] 강달러 여파…외환보유액 급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월 3719억9000만달러 그쳐



지난 7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던 외환보유액이 10월 이후 연속 두 달 연속 감소하고 국제순위도 전월보다 한 단계 하락했다. 연내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강달러가 지속됐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719억9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31억8000만달러달러 감소했다. 지난 2015년 7월(39억3000만달러 감소)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로화, 엔화 등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10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가증권 3368억8000만 달러(91.2%), 예치금 256억6000 달러(6.9%), 금 47억9000만 달러(1.3%), SDR 25억달러(0.8%), IMF포지션 17억4000만 달러(0.5%)로 구성돼 있다.

유가증권(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등)은 3368억8000만 달러로 한달 사이 54억1000만 달러 줄었다.

예치금은 256억 6000만 달러로 18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25억 달러로 3억7000만달러 늘었고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은 17억 4000만 달러로 3000만달러 줄었다. 금 보유액은 47억9000만 달러로 10월과 같았다.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 수준으로 지난달 대비 한 단계 떨어졌다.

중국이 3조2163억 달러로 한달 사이 478억 달러 줄었으나 1위를 유지했다. 일본이 1조2428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고 스위스(6865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5438달러), 대만(4353억 달러), 러시아(3907 달러)가 뒤를 이었다.

황유진 기자/hyjgog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