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3분기 경제성장률 0.6%…국민총소득, 금융위기 이후 첫 2분기 연속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3분기 경제성장률 0.6% -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3분기(7~9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0.6%에 그쳤다.

국민총소득(GNI)은 0.4% 감소했다.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는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를 보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77조 6445억원(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삼성 갤럭시노트7 리콜과 자동차업계 파업으로 제조업이 7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0.9%)을 기록했고 지난해 4분기(0.7%)부터 4분기 연속으로 0%대 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해 저성장 장기화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지난 2분기 성장률 0.8%보다 0.2%p, 10월 발표했던 3분기 성장률 속보치 0.7%보다 0.1%p 하락한 것이다.

이에 따라 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0.7%를 기록한 이래 4개 분기째 0%대에 머물렀다.

1.2%를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2014년 2분기(0.6%)부터 0%대 성장률이 이어졌다.

올해 3분기의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6%로 집계돼 2분기의 전년동기 대비 성장률 3.3%보다 크게 하락했다.

3분기 성장률의 소폭 하락은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되면서 소비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자동차업계의 파업,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등이 반영된 결과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분기 1.0%에서 3분기 0.5%로 떨어졌다.

그나마 정부의 추경 집행 등으로 정부소비 증가율은 2분기 0.1%에서 3분기에는 1.4%로 상승했다.

건설투자는 3.5% 증가해 3분기 속보치 3.9%보다 낮아졌다.

반면 속보치에서 0.1% 감소로 집계됐던 설비투자는 0.2% 증가로 수정됐다.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이 늘어 0.6% 증가했다. 하지만 속보치(0.8%)보다는 증가세가 둔화됐다.

수입은 기계류, 거주자 국외 소비 등을 중심으로 2.8%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분기 1.2% 증가에서 3분기 0.9% 감소로 돌아섰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과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자동차업계의 파업으로 운송장비와 전기 및 전자기기 업종의 타격이 컸다.

3분기 제조업 성장률 -0.9%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 6개월(30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건설업은 2분기 1.0%에서 3분기 3.7%로 성장세가 빨라졌다.

서비스업은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이 늘어 0.9% 성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