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감] 가습기살균제 치약·한미약품 폐암신약 부작용 이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상대로 7일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처 국정감사에서는 '가습기살균제 치약'과 '한미약품 폐암신약 올리타정' 이슈가 도마에 올랐다.

이날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여야의원들은 가습기살균제 치약과 관련해 식약처의 관리부실을 지적했다.

양승조 위원장(더불어 민주당)은 모두발언에서부터 "가습기살균제 성분 혼입 치약 사건으로 식약처가 과연 주무부처로서 충분한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김순례 의원(새누리당)은 질의에서 "치약뿐만 아니라 CMIT/MIT가 함유된 손비누와 바디워시 등에 대한독성 연구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하루에 몇 번씩 쓰는 치약이고, 국민이 굉장히 불안해하고 있는데 식약처장은 '별로 문제는 없지만 국민이 불안해할까봐 회수한다'는 식으로 답변하고 있다"고 질타하면서 "2015년에 정부에서 해당 성분을 유독물로 지정하면서 의약품과 화장품에 대한 함유 기준을 만들 때 제대로 만들지 않아 이런 논란이 있는 거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손 처장은 "치약 때문에 걱정시킨 부분에 대해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전반적으로 상황을 재점검해 유사사례가 없게 하겠다"고 사과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미약품의 폐암신약 올리타정에 대해선 야당의원들은 올리타정 사례와 같이 신속시판허가를 적용하면 환자 사망 등 부작용이 추가로 유발될 수 있다며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권미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임상 3상 조건부 허가로 의약품을 시판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은 국민 안전은 뒤로 한 채 제약사의 비용부담을 줄여주는데 초점을 맞춘 위험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윤소하 의원(정의당)도 "한미약품의 올리타정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의약품에 대한 무조건적인 규제완화는 결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물론 시장질서를 유린할 수 있다"며, "정부는 기업의 이윤을 앞세울 게 아니라 국민의 안전을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천정배 의원(국민의당)은 한미약품이 고의적으로 부작용 보고를 안한 것에 대해 행정처분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손문기 식약처장으 "고의적으로 부작용 보고를 늦춘 것인지에 대해선 현재 조사 중"이라고 답변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