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구조조정 여파 확대'..울산·경남 실업률 IMF이후 최고치(상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조업취업자수 두달째 감소세

취업자수 30만명대 회복했지만…

기저효과 및 추석연휴 효과 반영

청년실업률 8월기준 또 최고치

이데일리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조선업 구조조정의 암운(暗雲)이 점차 드리우고 있다. 울산, 경남지역의 실업률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조선소가 밀집한 울산지역 실업률은 4.0%로 전년동월보다 1.2%포인트가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00년 4.8%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거제도가 포함된 경남지역 실업률 역시 3.7%로 전년동월보다 1.6%포인트나 증가했다. 지난 1999년 8월 4.8%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조선업의 실업이 늘면서 우리나라 고용의 핵심축인 제조업의 고용창출 역시 악화됐다. 제조업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보다 7만4000명이나 줄면서 전월(-6만5000명)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2012년 4월 8만명 감소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구조조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수출부진 등이 계속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도 “수출이 지속적으로 반등하면 제조업 취업자 상황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체 취업자수는 2652만8000명으로 전년동월보다 38만7000명이 늘었다. 두달만에 30만명대로 올라선 것이다.

고용상황이 나아졌다기보다는 기저효과와 추석 효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작년 8월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여파로 취업자수가 25만6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는데, 올해는 작년에 타격이 컸던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10만3000명(4.6%), 도매 및 소매업에서 3만8000명(1.0%) 늘면서 취업자수를 끌어올렸다.

이외 건설이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건설업취업자수가 7만1000명(3.9%) 늘어난 것도 영향을 줬다.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여름탓에 기온이 높고, 강수일수가 줄면서 포도·배·사과 등이 조기수확된 것도 농림어업 취업자수의 감소폭을 완화했다.

청년실업률은 또 치솟았다. 8월 청년실업률은 9.3%로 8월 기준으로 1999년(10.7%)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자리 미스매치로 청년들이 취업할 만한 일자리가 없는 상황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2117명을 뽑는 경찰공무원 채용에 6만6000여명이 몰린 것도 실업률을 끌어올리는 데 영향을 줬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