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융위, 구조조정 대상업종 추가 확대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구조조정 대상 산업 추가 선정 검토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 3차 구조조정협의체 개최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정부가 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에 이어 구조조정이 필요한 업종이 있는지 추가로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키로 했다. 관련부처와 함께 글로벌 산업동향, 공급과잉 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기로 하면서 사실상의 산업 구조조정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열린 ‘제3차 산업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서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 현황을 점검키로 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열린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협의체에서 5개 업종(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에 대한 구조조정 원칙과 공급과잉 해소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협의체는 지난해 말 2차 회의에서 석유화학 업종 가운데 TPA(테레프탈산), 철강 업종 가운데 합금철(망간합금철) 분야를 구체적으로 지목해 감축을 위한 설비조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낸 바 있다.

임종룡 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 관계부처 차관급이 참여하는 이 협의체는 산업의 구조조정 방향을 논의하는 일종의 컨트롤 타워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하는 대책은 구조조정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한다.

정부가 범정부협의체를 다시 가동하면서 채권단을 중심으로 한 기업 구조조정에도 다시 발동이 걸릴 전망이다. 범정부 협의체는 이번 회의에서 앞서 발표한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진행 상황을 재점검하는 한편 상황변화를 반영해 추가 보완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또 산업별 분석을 토대로 부채비율이 높거나 공급과잉 상태에 빠진 업종을 분석해 필요 시 취약업종으로 추가 분류하고 채권단 신용위험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