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가뭄 계속되면 상황 심각"…충북도 '물 종합대책' 마련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북 평균 저수율 44.6%, 도의회 '물 재이용 촉진조례' 제정 추진

연합뉴스

아담해진 대청호 (옥천=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극심한 가뭄으로 대청호 수위가 낮아지면서 담수구역 곳곳이 허연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3일 충북 옥천군 군북면의 호수 경사면의 거대한 퇴적층 같은 모습으로 물밖에 드러나 있다. 2015.11.3 bgipark@yna.co.kr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이대로 가다간 농업·공업용수는 물론이고 가정에 공급하는 식수도 끊길 수 있습니다"

올봄부터 지속되는 혹심한 가뭄이 내년 봄까지 이어진다면 '물난리'가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북 771곳의 저수지 평균 저수율은 지난 6일 기준 44.6%다. 평년(83%)의 절반 수준밖에 안 된다.

수도권과 충청권 젖줄 역할을 하는 충주댐과 대청댐의 저수율도 각 40.1%, 36.4%에 머물고 있다. 지난달 20일 이후 보름여 만에 저수율은 각각 1.5% 포인트, 0.3% 포인트 더 떨어졌다.

장마철이 지난 탓에 큰 비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면 저수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방법도 뾰족히 없는 상황이다.

충북도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 가뭄 종합대책 수립에 나섰다.

◇ "이참에 장기대책 세우자"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수립 나서

올해 강수량은 평년의 53.3%에 불과한 641.1㎜에 그쳤다. 올여름 이렇다할 태풍이 오지 않은 탓이다.

기상 당국에 따르면 평년 11월부터 1월까지 겨율철 강수량은 93㎜에 불과하다. 농업용수가 필요한 내년 봄에도 가뭄 피해가 계속되고,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임에도 충북도는 생활·농업·공업 용수 관련 계획은 세워놨지만 수자원 관리를 입체적으로 하는 종합계획 자체가 없다. 올해와 같은 극심한 가뭄을 겪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급수차나 살수차를 가동, 비상 급수를 시행하고 물이 부족한 곳에 관정을 파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현재 도내 저수지 108개는 저수율이 50%를 밑돌고, 이 가운데 25곳은 바닥을 드러낸 상태다.

충북도가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서두르는 이유다.

이 계획에는 보·저수지·댐 건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가뭄·홍수 대책이 담기게 된다.

충북도는 충북발전연구원의 정책연구 결과에 따라 용역비를 확보, 내년 하반기나 2017년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2018년부터는 충북도의 가뭄 관련 대책도 이 계획을 따라 체계적으로 이뤄진다.

◇ 연간 2천100만t 땅속으로 흘려보내…도의회, 물 재이용 조례 추진

댐과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는 상황인데도 수돗물 누수는 심각하다. 충북에서 땅속으로 사라지는 수돗물은 연간 생산량의 9.6%인 2천100만t에 달한다.

이 정도 수돗물이면 도내의 웬만한 대도시 시민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제천시민 13만6천여명이 작년 한 해 사용하는 수돗물은 1천460만t, 충주시민 21만1천여명이 쓴 수돗물은 2천700만t이다.

충북도는 매년 지방비 50억원을 투입, 노후 상수도관을 교체하고 있다. 그러나 누수율을 낮추는데 한계가 엿보이고 있다.

도는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과 협업에 나서고 중앙부처에 국비 지원을 건의할 계획이다.

도민에게도 변기 벽돌 넣기, 빨래 모아 하기, 절수기 설치 등을 홍보, 협력을 끌어내기로 했다.

도의회도 오는 12일 개회할 제344회 정례회 때 '물 재이용 촉진·지원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

빗물 이용시설이나 중수도, 하수·폐수 처리수 재이용 시설을 설치하면 충북도가 그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도는 5년마다 물 재이용 촉진을 위한 관리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 조례안을 발의한 새정치민주연합 임헌경(청주7) 도의원은 "빗물이나 오수를 버리지 말고 생활용수 등으로 재사용한다면 수돗물을 아껴쓰며 가뭄을 극복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