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복지부 "삼성서울병원, 80번 메르스 환자 조치 미흡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한 환자가 다시 양성으로 확인되는 과정에서 여전히 감염 관리 체계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메르스 발병 이후 줄곧 지적된 병원 내 감염 문제를 개선하고자 선별진료소가 설치된 전국 응급실 285곳 전체를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오늘(20일)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 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열린 복지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질병관리본부의 감사가 끝나는 23일부터 전국의 응급실, 선별 진료소를 다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했다 지난 12일 다시 양성 반응을 보여 입원·격리 치료 중인 80번 환자(35)에 대한 삼성서울병원의 조치가 미흡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당시 이 환자는 자신이 메르스 환자였음을 밝혔으나 병원 측은 응급실과 별도로 설치된 선별진료소(발열호흡기진료소)에서 진료한 뒤 일반 응급실에 보내 다른 환자 및 보호자와 접촉하는 상황을 유발했습니다.

그 결과 해당 응급실을 찾았다가 80번 환자와 접촉해 격리된 환자·보호자만 16명, 능동감시자는 38명에 이릅니다.

선별진료소에서 바로 음압격리 조치를 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일입니다.

정 장관은 "분야별 전문가가 함께하는 협의체(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를 구성해 올해 연말까지 큰 틀을 만들기로 했으나 삼성병원 문제 등 여전히 빈틈이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자체적으로 재점검해서는 안되겠다 싶어 지난주 감사를 담당하는 직원까지 투입했다"며 "내부 전문가, 질병관리본부, 복지부 등이 마치 행정 감사와 같이 디테일하게 하나씩 꼼꼼히 살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자리를 함께한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 역시 "80번 환자와 관련해 삼성병원에서 취한 조치를 보면 여전히 부족한 게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양 본부장은 "선별진료소는 일차적으로 285곳 정도 점검할 것"이라며 "(선별진료소, 응급실은) 점검 리스트를 만들어 확인하되, 이 리스트가 적합한지 여부는 계속해 확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장관은 일선 현장에서 여전히 감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교육, 훈련과 더불어 지속적인 점검도 약속했습니다.

정 장관은 "(현재) 질병관리본부가 보건소 등 의료 현장에서 환자 발생, 처치 여부 등을 모의 환자를 통해 점검하고 있다"며 "현장에서 (감염 대응·관리 등을) 인식하도록 전문가들과 상의해 지속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정 장관은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서 원격의료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는 "원격의료는 공공의료로서, 오지까지 병원을 만들 수 없는 상황에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단계로 꼭 필요하다"며 "의료법 개정 등을 통해 이를 활성화하고 (반대론자 등을) 꾸준히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저작권자 SBS&SBS콘텐츠허브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