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메르스백신 공동개발·中企진출 지원..MOU 24건 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워싱턴=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백신 및 치료제 등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또 국내 스타트업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도 측면 지원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첨단산업 중심으로 24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엔지니어링 등 제조혁신 분야가 10건으로 가장 많았고, 에너지신산업 5건, 보건의료 4건, 무역투자 3건, 우주 2건 등의 순이다.

먼저 양국 국립보건원은 정밀의료 및 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 연구협력 의향서(LOI)를 맺고 관련 분야 공동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정보 및 인력 교류에 나서기로 했다. 국내 의료기기업체의 미국시장 진출을 돕고자 정보 교류 및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MOU도 한국 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과 미국 피츠버그대학병원(UPMC)가 맺었다.

사물인터넷(IoT), 3D프린팅, 엔지니어링 등에서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미국첨단제조혁신센터(CCAM) 간 MOU도 눈길을 끈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제조혁신을 통해 제조업 부흥과 세계경제 재도약을 주도하는 있는 미국과 제조혁신 협력을 본격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대한상공회의소는 전미제조업협회와 새로운 기업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앞으로 한미 경제동맹은 기존 한미 재계회의에 이 네트워크를 더해 이원체계로 확대될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한국 코트라는 미국 상무부 산하 소수계기업지원청 및 창업보육지원기관(ERA)과 각각 ‘조달시장 진출협력 MOU’와 ‘창업지원 협력 MOU’를 체결, 국내 스타트업 기업을 포함한 우리 중소기업의 미국 시장진출 확대를 측면 지원하기로 했다.

양국은 우주분야와 관련해 빠른 시일 내 우주협력협정이 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안 수석은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한국형 발사체를 활용한 달 탐사를 목표로 하고 있어 달 궤도 진입 및 심우주통신 등 우주탐사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데 미국과의 협력이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국립환경과학원은 미 항공우주국(NASA)와 MOU를 체결하고, 동북아 지역의 대기 질과 관련된 과학적 데이터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