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오늘시장 브리핑]메르스 정국 끝, 현기차 美 선전… 경기 회복 탄력 받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메르스 이달말 공식 종식 발표=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유일한 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양성 환자였던 80번 환자가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지난 1일 밝혔다. 방역당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메르스 마지막 환자의 완치 시점부터 28일이 지난 이달말께를 종식 시점으로 보고 있다. 국내 메르스 환자는 지난 7월 4일 186번 환자가 추가된 후 약 3달간 나오지 않는 상태다. 메르스 공식 종료를 앞둔 가운데 코리아 그랜드세일과 중국 관광객 방문 등과 맞물려 내수 경기 회복세가 탄력을 받을지 관심이 모인다.

◇현대·기아차 美서 자동차 판매 증가세=미국 자동차 시장이 호조세를 나타내면서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가 수혜를 입고 있다. 지난달 미국 자동차 총 시장 수요는 144만2000대로 전년동월대비 15.7% 증가했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14.3% 늘어난 6만4015대를 팔아 점유율 4.4%를 차지했다. 기아차의 판매대수는 4만9820대로 전년동월대비 22.6% 증가했다. 점유율은 3.5%다. 특히 현대차 투싼과 기아차 카니발이 같은 기간 120.8%, 395.8% 급증한 7925대, 3039대가 팔려 증가세를 견인했다.

◇미국 오리건주 총기난사… 30여명 사상=1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 남쪽 약 300km에 위치한 로즈버그 지역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해 범인을 포함해 13명이 숨지고 약 20명이 다쳤다. 범인은 20세 남성으로 사건 현장에서 경찰관들과 총격전 끝에 사망했다. 현장 목격자에 따르면 범인은 글쓰기 수업을 하던 강사를 쏜 후 교실로 들어와 다른 사람들을 엎드리게 한 후 총격했다. 엄프콰 칼리지는 약 3000명의 학생과 성인 평생교육을 받는 시민 1만6000여명이 등록됐다. 이곳에는 무장하지 않은 경비원 1명씩만 근무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사건에 관해 브리핑을 받았으며 계속 보고를 받을 예정이라고 백악관 관계자는 전했다.

◇美 제조업 지표 부진,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 51.1에서 50.2로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가이 레바스 제니몽고메리스콧 수석 스트레티지스트는 “올 여름 대부분 제조업 지수는 부진했고 ISM 지표도 다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조만간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제프리 래커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장은 1일(현지시간) 10월 중 “금리를 올리지 않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며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가까운 미래에 완전 고용이라는 소임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물가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2% 목표치를 향해 움직일 것이다”고 말해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였다.

◇뉴욕 증시 혼조세… 국제유가 하락=1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미국 경제 지표 발표를 하루 앞두고 혼조세를 나타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2.69포인트(0.08%) 하락한 1만6272.01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같은 기간 3.79포인트(0.20%) 상승한 1923.82, 나스닥 지수는 6.92포인트(0.15%) 높은 4,627.08에 각각 장을 마쳤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35센트(0.8%) 낮아진 44.74달러를 기록했다.

◇유럽 증시 하락… 日 지수는 상승=유럽 주요 증시는 미국 제조업 지표 부진 등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독일 DAX 30 지수는 전일보다 1.57%, 프랑스 CAC 40 지수도 0.65% 각각 내렸다. 영국 FTSE 100 지수만 0.18% 소폭 올랐다. 반면 아시아 증시는 중국 경제지표 악화 진정세로 상승했다. 중국의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47.2로 예비치인 47.0을 웃돌았다. 일본 닛케이225지수가 전장보다 1.92% 상승했고 중국 증시는 국경절로 휴장했다.

◇브라질 헤알화 가치 하락… 보유 외환 사용 고심=브라질 중앙은행이 헤알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방어를 위해 보유 외환 사용 여부를 두고 고심 중이다. 1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시장 개입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 알레샨드리 톰비니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달 24일 “금융시장의 동요를 막는 것이 중앙은행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헤알화 방어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헤알화 가치는 지난달 9.39%, 올해 전체 49.68% 떨어졌다. 최근 12개월간은 62.2% 하락했다.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은 3700억달러 수준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