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정부ㆍ與에 부정적 제목이 野의 10배? "세월호ㆍ메르스… 모든 언론 비판"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포털, 커지는 논란 / 쟁점 둘러싼 공세와 반박

"노출 빈도 문재인 > 김무성… 언론이 많이 다뤘기 때문" 해명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의 최형우 교수팀이 내놓은 연구서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화면 빅데이터분석 보고서’에서 새누리당이 문제 삼고 이에 포털들이 반발한 공방 쟁점은 크게 세가지다. 보고서는 올 상반기 포털 뉴스를 분석해보니 ▦정부ㆍ여당쪽에 부정적인 제목(1,029건)이 야당에 부정적인 제목(147건) 보다 10배 많았고 ▦포털들이 정부여당 기사의 제목을 부정적으로 고쳤으며 ▦야당의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여당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보다 더 자주 뉴스서비스에 노출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포털측의 반박은 ‘뉴스 서비스의 기사 배열은 사건을 따라간다’는 것이다. 포털 관계자는 “보고서에 나와 있듯이 올 상반기 주요 이슈는 ‘세월호’, ‘성완종사태’, ‘메르스’ 였다”며 “이런 문제들에 대해 보수ㆍ진보매체 따질 것 없이 모든 언론들이 정부와 여당이 잘했다고 보도하지 않았는데, 이를 두고 포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부정적 제목의 기준도 보고서와 포털이 다르게 봤다. 연구서는 정부ㆍ여당에 비판적인 기사를 부정적으로 분류했는데, 포털측에서는 그 범위를 너무 확대했다는 반론이다. 예를 들어 연구서가 부정적 뉴스 사례로 꼽은 ‘이완구, 투기 안했다…국보위 훈장 반납 신중히 검토’, ‘청와대, 문건유출사건 첫 공판…조응천 혐의 전면 부인’ 등을 보면 ‘안했다’‘부인했다’처럼 부정적 의미의 단어가 포함된 제목을 모두 부정적으로 분류했다.

보고서가 포털이 제목을 손봤다고 든 사례도 마찬가지다. ‘박 대통령, 성완종 파문에 순방 다녀와서 결정…특검도 마다 안해’라는 제목을 포털에서 글자수 노출 제한 때문에 ‘특검도 마다 안해’를 떼어내고‘박 대통령 성완종 파문에 순방 다녀와서 결정’이라 고친 것을 부정적 제목 편집 사례로 들었다. 포털 관계자는 “기사 제목을 임의로 고치지 않는다”며 “다만 노출 공간의 제한 때문에 글자수를 맞추는 정도”라고 답했다.

문 대표보다 김 대표가 더 많이 뉴스 서비스에 나온 것에 대해서도 포털측 답변은 간단하다. 언론사들이 김 대표보다 문 대표를 많이 다뤘다는 것이다. 포털 관계자는 “포털은 뉴스를 생산하지 않고 전달만 하는 매개체 일 뿐”이라며 “특정인이 많이 나온 것은 언론사에서 답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조태성기자 amorfati@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