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종합]삼성서울병원, 메르스 백신 개발 지원·응급실 개선…1000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오제일 기자 =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의 진원지로 손꼽혔던 삼성서울병원이 1000억여원을 투입하는 메르스 후속 대책을 발표했다.

병원 측은 2일 오전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메르스 백신 개발 지원, 환자 안전 인프라 개선 등을 골자로 하는 메르스 후속 대책을 밝혔다.

먼저 병원은 5년간 410억원을 투입해 메르스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백신 개발은 국제백신연구소(IVI: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와 협력해 추진한다. 삼성이 개발자금을 지원하고 백신 개발 기관의 선정과 관리 등은 해당 기관에 위임하는 식이다.

송재훈 삼성서울병원 원장은 "너무 많은 환자가 발생했다는 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느껴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며 "메르스의 경우 환자나 의료인들도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게 백신 개발에 투자하는 방법이라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병원은 또 응급실 및 환자안전 인프라 개선에 500억을 투자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응급실은 2016년 3월까지 1.6배 규모로 확장된다. 감염·외상·소아·암환자 등 6개의 전문 진료 영역별로 구역을 나뉘고 11개의 음압격리실이 설치돼 일반환자와 감염환자의 동선이 완전히 분리되게 한다는 구상이다.

응급실 확장과 함께 다른 병원들과 네트워크를 강화해 응급실 과밀화 문제 해결에도 힘쏟기로 했다. 특히 환자들이 30분 내에 최초 진료를 마치고 6시간 내에 입·퇴원할 수 있는 진료 프로세스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프로세스는 지난달 도입, 현재 응급실 체류 시간이 4시간을 밑돌고 있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병원은 아울러 응급실 11개 음압격리실과는 별도로 호흡기 감염병 환자의 입원 치료를 위한 음압격리병동을 설치하고 2016년 3월까지 동 병동 내에 전실을 갖춘 음압격리병실을 최소 10개 이상 확보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번 방안에는 메르스 확산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됐던 간병문화 개선 방안도 포함됐다. 하루 면회객을 환자당 2인 이하로 제한하고 등록된 방문객만 병실 출입을 허용할 예정이다. 방문하는 보호자 등록 관리제를 실시해 응급실 방문 보호자를 1명으로 제한 철저한 관리를 위해, 보호자 등록 관리제도 실시된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35번 환자(38·삼성서울병원 의사)의 상태도 전해졌다. 송재훈 원장은 "말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의사표현을 분명하게 하고 있다. 상태가 조금 더 호전되면 일반 병동으로 옮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afk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