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제2 메르스 막으려면 보호자 없는 병원 만들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 토론회…이상윤 연구위원 "간호사수 간호팀의 80% 이상으로 늘려야"

연합뉴스

병실에 앉아있는 환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을 막으려면 보호자가 병원에 상주할 필요가 없는 병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직 의사인 이상윤 건강과대안 연구위원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메르스 사태에서 본 병원 간병 문제 이대로 둘 수 없다' 토론회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 위원은 "이번 메르스 사태로 확인된 것처럼 병원 감염의 주된 경로 중 하나는 환자·보호자·의료진 간 상호 교차 감염"이라며 "병동에 보호자나 비공식 간병인이 있으면 방역을 위한 추적 관찰과 조사 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돼 방역에 많은 시간과 자원이 필요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병동의 간호사가 한 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가 최대 20명에 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4배 수준"이라며 "결국 비공식 인력인 간병인과 보호자가 간호사의 업무를 떠맡아 감영 발생 위험이 더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이 위원은 "간호사 수를 늘려야 하지만 100% 간호사로 간호·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비용과 인력 수급 문제 등으로 비현실적"이라며 "간호사와 간호 보조 인력 구성으로 간호·간병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87.5% 이상을 간호사로 구성한 간호팀이 투약 오류를 줄이는 최적의 비율"이라며 "최소 80% 이상은 간호사로, 간호 보조 인력은 20% 이하로 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호 보조 인력에 대해서는 "병실 관리 등 한정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선을 그어야 한다"며 "특정한 면허를 요구하기보다는 최소한의 교육을 수료한 상태에서 병원이 직접 고용해 교육과 훈련을 책임지도록 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라고 덧붙였다.

2vs2@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