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2분기 강남권역 상권 메르스 여파로 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올해 2분기(4~6월) 서울 강남권역 상권의 임대료가 모두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냈다.

내수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관광객 수요마저 감소하며 임대료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권역 월 임대료는 신사역(-0.5%), 삼성역(-0.5%), 압구정(-2.0%), 강남역(-3.2%) 순으로 하락률이 높았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 상권 임대료는 256만원/㎡으로 전분기대비 0.2% 하락했다.

강남권역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 가운데 홍대, 이태원 등은 대학생, 업무시설종사자 등 20~30대 내수수요가 두터운 상권이 임대료 상승을 유지하며 2분기 서울 상권 임대료 낙폭을 줄여줬다.

강남권역 내 상권은 2분기 임대료가 모두 소폭 하락했다. 도심권역은 종각역(11.7%), 광화문(4.4%), 종로3가(-3.2%), 종로5가(-3.5%) 순으로 월임대료 변동이 나타났다.

신촌권역 상권임대료는 홍대(1.2%), 신촌(0.3%), 이화여대(-5.2%) 순으로 변동했다. 반면 신촌 상권은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2분기 신촌 상권 임대료는 0.3% 상승하며 5분기 동안의 내림세를 마감했다.

영등포권역은 영등포역(1.2%)을 제외하고 여의도역(-5.0%)과 영등포시장역(-1.6%)의 월임대료가 하락했다. 이태원 상권은 전분기대비 19.3% 상승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분당은 야탑역(7.5%), 판교(3.1%), 미금(2.7%), 서현(2.1%), 수내(0.5%), 정자(-3.2%) 순으로 임대료가 변동했다. 일산은 백석(7.9%), 주엽(6.3%), 정발산(-1.0%), 대화(-2.0%), 화정(-2.3%), 마두(-8.6%) 순이다.

mkba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