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4 (목)

<연합시론> 가뭄피해 막는데 총력 다하되 근본대책도 마련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반도가 타들어가고 있다. 도시에서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퍼져 한바탕 홍역을 치르는 가운데 농촌 지역에서는 가뭄의 고통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중부 지방의 올해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 주말 잠깐 비가 오긴 했지만 해갈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한다. 동양 최대 다목적댐인 소양강댐 수위는 15일 현재 152.63m로 역대 최저치인 151.93m에 바짝 다가섰다. 가뭄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사람은 농민이다. 밭작물이 시들거나 파종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고 논에서도 물마름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 가뭄이 심해지면 농업을 넘어 훨씬 광범위한 분야가 영향을 받게 된다. 일부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벌써 식수 공급이 제한되고 있다. 전력생산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산업용수 부족과 농산물 가격 급등도 골칫거리다. 7월 초까지는 비다운 비도 없다고 하니 이번 가뭄이 국가재앙 수준까지 악화하지나 않을지 걱정이다.

자꾸 가뭄이 드는 것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고, 수십년마다 찾아오는 대가뭄 주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한반도에는 최근 들어 거의 매년 크고 작은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 가뭄이 연례행사가 되다시피 했으니 그 원인을 찾아내 미래를 예측하고 유사시에 대비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농림축산식품부 내의 가뭄대책상황실을 가뭄·수급대책상황실로 확대하고 상황실장도 국장에서 차관으로 격상하는 한편 인천시, 경기도, 강원도 등 가뭄피해가 심한 지자체와 함께 총력 대응체제에 돌입했다는 소식이다. 하지만 정부 대책을 보면 대증적 땜질 처방이라는 느낌이다. 소관 부처인 농림부와 지자체들은 당장 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 힘을 다하고 있겠지만 가뭄이 계속되면 국가에 전방위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대응해야 한다. 단기 대책과 함께 근본적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중장기 계획도 내놔야 한다. 홍수·가뭄 예방을 위해 건설한 4대강의 16개 보에 물이 가득 차 있는데도 관개수로 미비로 이번 가뭄에 거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엄청난 세금을 들이고도 정작 필요한 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 것은 정부의 물 공급과 관리 체계가 그만큼 주먹구구식이라는 점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뭄으로 곡물을 비롯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 서민 생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만큼 미리 대책을 마련해 둬야 한다. 또 경기 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 기업들이 산업용수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빚지 않도록 세심하게 점검하길 바란다.

'물쓰듯 한다'는 속담이 있지만 우리는 실제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심각한 물 부족 국가다. 당국은 당국대로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고, 국민은 국민대로 물에 대한 인식을 바꿔 나가야 한다. 정부는 전문가들의 제언처럼 물관리를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타워 설치, 광역상수도망 확충, 중소하천에 소규모 저수지 건설·보수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보길 바란다. 우리 자신도 물을 헤프게 쓰는 생활습관을 버려야 한다. 설거지나 양치를 할 때 물을 받아놓고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해봤으면 한다. 물은 수도꼭지에서 자동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취수, 정수, 송수 등의 매우 복잡하고 많은 돈이 드는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이다.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교육하는 것도 '물 문화'를 개선하고 물 부족을 완화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