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6 (수)

"광역·기초의회 후보자, 기초단체장보다 SNS활동 저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6월 지방선거 당시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 후보들에 비해 광역·기초의회의원 후보들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활동이 저조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가 6월 지방선거 공식선거운동기간(5월22일~6월3일) 중 전국 광역단체장, 서울지역의 기초단체장,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의원선거에 출마한 원내정당 후보자들의 SNS상의 선거운동 활동을 분석한 결과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후보자들에 비해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의원 후보자들의 SNS 활동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에 출마한 후보자들 대부분이 SNS 계정을 갖고 있었던 반면 광역의회·기초의회의원 후보자들은 SNS 계정조차 없는 경우가 다수였다.

전국 광역단체장 후보자의 계정보유비율은 96%(51명 중 49명), 서울지역 기초단체장 후보자의 계정보유비율은 97%(63명 중 61명)로 매우 높았다.

반면 서울지역 광역의회·기초의회의원 후보자의 계정보유비율은 각각 61%(215명 중 132명), 53%(594명 중 317명)로 낮은 수준이었다.

SNS 계정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 후보자들에 비해 광역의회·기초의회의원 후보자들의 SNS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에 출마한 후보자들 중 13일의 공식선거기간 중 총 20건 이상의 정보를 게시한 후보자들이 10~19건, 1~9건, 0건을 게시한 후보자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 광역의회·기초의회의원 후보자들 중 선거기간에 적극적으로 선거캠페인 정보를 올린 후보자의 비율은 극히 낮았다. 오히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을 갖고 있어도 전혀 활용하지 않는 후보자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광역의회·기초의회의원 후보자들 중 선거운동기간 중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단 1건의 정보도 게시하지 않은 후보자가 과반에 달했다.

입법조사처는 "SNS라는 새로운 소통의 수단은 아직까지 중앙정치에서 더 활성화되고 있으며 지방정치에서는 걸음마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SNS 이용이 활발한 소수의 기초 및 광역의회 후보자조차도 SNS를 유권자와 소통하며 정책의제를 발굴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보다 후보자 유세 일정을 형식적으로 소개하고 단순 정보를 리트위트 혹은 공유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고 분석했다.

또 "대선이나 총선과 달리 후보자들에 대한 정보획득이 용이하지 않은 지방선거에서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SNS조차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지역정치인과 유권자간 소통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입법조사처는 그러면서 "지방자치가 잘 정착된 선진국의 경우 지역정치인과 지역주민과의 소통에 SNS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며 "시민과 지역정치인 사이에 SNS를 통한 효율적인 소통의 장이 마련된다면 이는 지방자치제가 추구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안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da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